[기고] 새 1만원권 배경그림 '일월오봉도'는 금척의 상징/최홍 작가 '마이산 석탑군의 비밀'저자

2005. 8. 17. 09: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는 2007년 상반기에 발행되는 새 1만원권의 앞면 배경 그림을 일월오봉도와 용비어천가 제2장으로 결정했다고 한다. 이런 금통위의 결정을 환영한다. 다만 일월오봉도에 대한 설명이 다소 피상적인 감이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해 본인의 견해를 간략하게 피력하고자 한다.

일월오봉도는 조선시대에 왕권을 상징하는 극히 중요한 그림이면서도 내막이 거의 밝혀지지 않은 수수께끼의 그림이다. 이유는 이 그림이 왕조의 비밀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명칭도 별도로 정해지지 않아 일월곤륜도, 일월오악도 등 여러 가지로 불려왔다. 그러나 일월곤륜도나 일월오악도라는 명칭은 모두 잘못된 것이다. 일월오봉도가 가장 적합하다.

또 이 그림이 임금의 통치권을 나타낸다는 것도 그저 평범한 해석에 불과하다. 해와 달은 왕과 왕비,5개의 봉우리는 5악(五嶽), 동심반원형 물결 무늬는 바다의 파도를 의미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만백성을 다스리는 통치권을 상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5개의 봉우리는 큰 산의 이미지와는 동떨어진 데다, 동심반원형 무늬도 바다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동심반원형 무늬가 바다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어떻게 그 사이로 솟구치는 흰 포말이 있을 수 있겠는가.

일월오봉도는 천권(天權)의 상징물인 금척(金尺·금으로 된 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꿈속에서 하늘의 신인으로부터 왕조 창업의 신표로 받았다는 금척의 상징 그림인 것이다. 때문에 이 그림은 임금이 거둥하는 곳에는 언제 어디에나 동행했다. 단순히 통치권을 나타내는 그림이라면 그저 임금의 용상 뒤에 있으면 됐지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또 이 그림은 전북 진안의 마이산(馬耳山)에 있는 석탑군을 형상화한 그림이라고 여겨진다. 진안의 마이산에는 조선 왕조 창업과 관련하여 이성계의 자취가 짙게 남아 있다. 여러 정황으로 봐서 마이산의 석탑들은 금척의 조형물로 쌓여진 것이다. 일월오봉도의 해와 달은 마이산의 암마이봉과 수마이봉을,5개의 봉우리는 석탑군 중 5개의 원추형 석탑들을,45개에 달하는 동심반원형 무늬는 줄줄이 서 있는 외줄탑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금척의 조형물을 거리상 임금이 가까이 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그림으로 형상화해 늘 곁에 두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금척이 조선 왕조에서 갑자기 등장하는 것은 아니다. 연원은 멀리 신라를 거쳐 단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신라를 창업한 박혁거세도 꿈속에서 하늘로부터 금척을 받았으며, 단군도 우리 민족을 이끌고 조선을 창업할 때 금척의 이치에 따라 나라를 건설했다고 하기 때문이다.

우리 상고사에 대한 저서 중의 하나인 '부도지(符都誌)' 중 '징심록 추기'편에서 김시습은 금척이 천부경(天符經)이라는 사상적 배경과, 첫 건국의 바탕이라는 역사적 유래를 갖추고 있는 신비로운 사물이라는 것을 누누이 밝히고 있다.

이성계가 꿈속에서 금척을 받고 나라 이름을 단군과 같이 조선으로 했던 것은 단군의 맥을 이어 이 땅에 천부도(天符都)를 건설하려 했던 의도의 소산이었을 것이다.

남북 교류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는 이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새 1만원권 지폐의 배경 그림으로 일월오봉도를 결정한 것은 퍽 의미심장해 보인다. 금척은 우리 민족에게 역사적 전환기, 즉 새로운 국가 창업 시기에 종종 등장했기 때문이다.

현재도 여러 궁에 보관되고 있는 일월오봉도는 같은 형식이면서도 표현 기법이 조금씩 다른데, 덕수궁 중화전의 그림이 가장 원형에 가까운 그림일 것이다. 덕수궁은 고종이 거처하던 궁이었고, 고종은 왕조의 뿌리와 전통을 되살리려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임금이었기 때문이다.

최홍 작가 '마이산 석탑군의 비밀'저자

[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