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서울시가 세계 최고의 와이파이망 도시 구현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서울시는 15일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의 민간 이동통신3사와 협력해 서울 전역에 무료 와이파이(Wi-Fi) 1만개소를 구축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27.7배, 서울시 면적의 13.5%에 해당하는 규모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8일 총 8500억원의 예산을 들여 796개 공공시설에 무료 와이파이존을 설치하는 등의 계획을 담은 `스마트 서울 2015'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세계 최고수준을 넘어 와이파이 낙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자치구는 CCTV와 교통신호기 등을 연결하는 자가통신망의 일부 여유 대역을 이동통신사에 임대하고, 이동통신사는 시민 접근이 쉬운 근린공원, 교차로, 상가도로변 등 주요지점에 1만430개 무료 와이파이존을 설치ㆍ운영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시내 전체 근린공원 382곳 중 363곳에서, 교통신호제어기가 있는 교차로와 횡단보도 등 교통요지는 모든 지역에서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번 MOU 체결로 이동통신 3사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무료 와이파이 1만개소 설치에 올해부터 5년간 총 477억원을 투자하게 된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빠른 보급으로 와이파이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카페 등 일부 상용시설을 제외하면 공공장소는 와이파이의 사각지대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번 협약으로 무료 와이파이 지역은 1개소당 반경 50m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이 지역에서는 통신사에 관계없이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든 모바일 단말기에서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서울시민은 통신비도 절약하고, 와이파이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IT첨단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통신자원을 공동으로 활용해 각종 재난ㆍ재해에도 대비할 수 있게 된다. 통신사에서 설치한 무선공유기(AP)를 공동이용할 경우, 시에서 개발예정인 긴급통화, 공공안전 등의 서비스를 서울 전역으로 확산해 각종 재난재해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체계가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와 이동통신 3사는 1544개소의 공공ㆍ문화ㆍ시민생활공간과 지하철 1~9호선의 모든 차량, 버스, 택시 등 수송률이 높은 교통수단에도 상용 와이파이 존을 올해 안에 설치하기로 했다.
황종성 서울시 정보화기획단장은 "이제 서울은 공공장소면 언제 어디서나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최첨단 IT도시가 됐다"며 "앞으로도 구석구석 틈새까지 디지털복지가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 범위를 점차 넓혀가겠다"고 말했다.
박정연기자 jypark@
◆사진설명 : 15일 서울 중구 서소문동 서울시청 간부회의실에서 열린 서울시-통신3사 '서울 전역 공공 와이파이 1만개소 구축' 양해각서(MOU) 체결식에서 오세훈 시장과 참석자들이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상훈 KT 사장, 이상철 LG유플러스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하성민 SK텔레콤 대표.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디지털타임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검수완박 반대` 양향자, 민주당 복당 철회
- 현역 프리미엄 vs 여당 프리미엄… 지선 판세 예측불허
- 민주당 "53조 초과 세수 재정 쿠데타"
- `정유라` 등에 업은 강용석… 경기도 `보수 단일화` 멀어진다
- `6·1지선 레이스` 오늘 스타트… 대권 잠룡들 운명 걸린 한판
- 성 비위·추경·한미정상회담… 與野, 선거판 유불리 계산 복잡
- 野, 김대기 `尹출퇴근 교통` 발언 사과 요구
- 與 9곳 vs 野 8곳 `승리 기대`… 결국 승부처는 `경기`
- 검찰 지휘부 지각변동 예고… 밀려났던 `尹사단` 약진하나
- 협치 강조 다음날 단행… 민주 "韓 인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