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언론의 난립 정부정책도 거들어

입력 2015. 2. 2. 04:03 수정 2015. 2. 2. 04: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안언론 육성 명분 2005년 신문법 개정양적 팽창의 촉매제

◆ 기업10敵 아니면 말고 미디어 ◆ 인터넷신문의 급성장은 IT 인프라스트럭처 발전에 힘입은 것이지만 여론 다양화, 대안언론 육성을 지향한 참여정부의 '취재선진화방안', 2005년 신문법 개정 등 정책·법률의 뒷받침도 적잖은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인터넷 이용자가 급격히 증가한 2000년을 전후로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매체들이 탄생했다. 국내 포털사이트가 뉴스검색·노출 등 뉴스서비스를 실시한 것도 이 시기다. 1998년 야후코리아가 첫발을 내디딘 이후 네이버·다음이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인터넷 환경이 성숙한 가운데 2002년 월드컵과 대통령선거라는 큰 이슈를 맞이하면서 인터넷신문의 숫자는 급속도로 늘어났다.

그 뒤 인터넷신문의 양적 팽창을 촉발한 것은 2005년 신문법 개정이다. 개정 신문법은 인터넷신문도 신문법상 등록해야 하는 정기간행물로 분류했다. 대신 등록요건은 느슨하게 했다. 주간 전체기사 중 30% 이상 자체 생산 등 사후 충족해야 하는 조건이 있긴 하지만 상시 취재인력 2명을 포함해 취재·편집인력 3명만 확보하면 얼마든지 등록할 수 있게 됐다.

전문가들은 브리핑제도 실시, 기자실 개방 등을 골자로 한 취재선진화방안도 인터넷신문 양적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2007년 나온 애플 아이폰은 모바일 시대를 활짝 열었다. 인터넷신문이 커버할 수 있는 수용자 범위는 더욱 늘어난 반면 취재, 기사작성, 송고, 편집, 노출 등 뉴스 생산 전 과정에 수반되는 비용은 확 줄었다.

김위근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은 "인터넷신문은 비용이 얼마 들지 않아 사업적으로 매력적"이라며 "시장은 한정적인데 매체 수가 많아 생존전략으로 검색순위를 높이기 위해 유사기사를 포털에 전송하는 어뷰징 등이 유혹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기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