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신각 '종'으로 표현..고구려 비사성은 엉뚱한 곳 표시, 오류투성이 국정교과서

정원식 기자 2015. 9. 7. 23: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사학자들 "국가가 만들었는 데 이렇게 허술할 수가"독립운동가 후손 1인시위 "한국사 국정화 시도 중단을"

“국정교과서가 이렇게 허술할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교육부가 책임을 지고 당장 수정사항을 정오표로 만들어 학교 현장에 배포해야 한다.”

박근혜 정부의 첫 국정교과서인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교과서를 분석한 학자들과 교사들은 “이런 교과서로 공부하면 학생들이 잘못된 역사인식을 갖게 된다”고 우려했다. 기초적 사실관계에서부터 서술상의 표현·해석까지 국가가 책임지고 만들었다고 보기 어려운 ‘오류투성이 교과서’라는 것이다.

교과서는 “(신라에서는) 국학에서 공부한 학생들 중에서 시험을 치러 관리를 뽑으려고 하였지만, 귀족들의 반대로 시험을 치를 수 없었다”(89쪽)고 기술돼 있다. 하일식 연세대 사학과 교수는 “귀족들이 반대해서 시험을 치르지 못했다는 건 금시초문”이라고 말했다. 국학에서 수학한 학생을 중하위직에 등용하는 독서삼품과를 시행했지만 높은 벼슬은 진골이 독차지했고, 귀족들이 관리시험을 반대했다는 것은 신라사 전공자들도 처음 듣는 얘기라는 것이다.

독립운동가 지청천 장군의 외손인 이준식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59)이 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 중단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서성일 기자

교과서는 고려시대의 과거제를 언급하며 “고려에서는 가문이 좋지 않더라도 출세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89쪽)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음서제 후에 과거제가 생긴 게 아니라 과거제 이후 실시된 음서제 때문에 귀족들이 관직을 독점했다고 보는 것이 학계의 상식이다.

교과서 181쪽 ‘문화재 지도’에는 고구려 비사성이 중국 다롄시 진저우구가 아닌 멀리 떨어진 진저우시에 표시돼 있다. 한자까지 다른 ‘진저우구’를 ‘진저우시’로 오인해 엉뚱한 위치에 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반도에 고추가 들어오기 전인 고려시대 청자에 붉은 김치가 담긴 그림도 역사적 오류다. 조선시대 주요 궁궐을 소개하는 대목(133쪽)에서 창경궁이 누락돼 있고, 교과서 125쪽 연표에는 ‘경국대전’이 반포된 해(1485년)를 완성된 해로 표기하기도 했다.

고대국가(18~29쪽) 기술도 도마에 올라 있다. 고조선이 한 단원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고조선의 멸망은 언급돼 있지 않고 곧바로 삼국시대로 건너가 5세기 초반까지 존속한 부여에 대한 서술은 보이지 않았다. 고구려·백제 건국세력의 기원이 되는 주요 국가 부여를 누락한 것이다. 본문 내용에는 나오지 않는 ‘위만조선’이 해설박스에는 등장해 혼란을 초래하는 대목도 발견됐다.

방지원 신라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연구진·집필진·심의진에 유수한 학자들이 포함돼 있는데도 이런 오류가 나오는 것은 제작 과정이 비밀스럽고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국정제의 한계 때문”이라며 “정부가 국정제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검·인정제를 보완하고 유지하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고쳐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원식 기자 bachwsi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