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탄생 100년] 현대가 2·3세 충실한 병역이행 '귀감'

나윤석기자 2015. 9. 15. 18: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鄭명예회장 "사회적 책임 다하라" 가르침정몽구·정몽헌·정몽준 등 육군·ROTC로 복무직계 3세는 11명 중 10명이 국방의 의무 다해
국내 30대그룹 후계자 가운데 군대를 다녀오지 않은 자제의 비율은 33.3%로 일반인의 군 면제 비율인 6%대를 훨씬 상회하는 가운데 범현대가 2~3세들의 병역 이행률은 일반 평균마저 웃돈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는 아산 정주영의 뜻에 따라 아들과 손자들은 ROTC 장교나 육군 현역병으로 군복무를 마쳤다. ROTC 장교로 복무하던 시절의 정몽준 의원.

국내 재벌그룹들이 가장 부러워하는 스웨덴 기업군이 하나 있다. 바로 발렌베리 가문. 스웨덴 국내총생산(GDP)의 30% 이상을 차지한다는 발렌베리그룹을 국내 재벌들이 따르려는 것은 규모가 아니라 지속성 때문이다. 6대를 넘어 7대째 가업승계를 앞두고 있다.

오랫동안 기업을 일구면서도 흔들리지 않는 배경에는 국민들의 무한신뢰가 있고 발렌베리그룹 후계자들의 확실한 병역 이행이 국민의 신뢰를 이끌어낸 주동력이다. 발렌베리그룹의 후계자가 되려면 스웨덴 해군 장교로 복무해야 한다는 전통에 비견할 만한 국내 재벌은 딱 한 곳뿐이다. 범(汎)현대가(家)가 그렇다. 2세는 물론 3세까지 충실한 병역 이행으로 유명하다.

다양한 복지사업으로 어떤 기업인보다 사회적 책임 완수에 앞장섰던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후손들답게 '노블레스 오블리주(신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며 모범을 보이고 있다.

우선 2세들 중에서는 정몽일 현대기업금융 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고 정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 정몽윤 현대해상화재보험 회장,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 등이 모두 육군 병장 만기제대나 학생군사훈련단(ROTC) 출신 장교로 병역을 마쳤다. 정 명예회장의 직계 3세 11명 가운데 군대를 면제받은 인물로는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유일하다.

정몽준 이사장과 아들인 정기선 현대중공업 상무는 부자가 나란히 ROTC 장교로 군 복무를 마쳐 화제를 낳기도 했다. 사회 지도층 인사가 병역기피 의혹으로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는 일이 허다한 상황에서 국방의 의무를 소중히 여기는 현대가 후손의 이 같은 모습은 단연 돋보인다.

이는 생전에 기회 있을 때마다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입버릇처럼 강조했던 정 명예회장의 가르침과 무관하지 않다. "인간의 최대 비극은 열심히 일해도 배고픈 것이고, 두 번째 비극은 돈이 없어 병을 못 고치는 것이며, 세 번째 비극은 가난해서 배우지 못하는 것"이라는 게 정 명예회장의 일관된 지론이었다고 그의 측근들은 전한다.

지난 1977년 정 명예회장이 현대건설 창립 3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사재를 출연해 아산사회복지재단을 설립한 것도 이 같은 소신의 실천이다.

이 재단은 지금도 '우리 사회의 가장 불우한 이웃을 돕는다'는 취지 아래 의료사업과 사회복지·장학·학술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사회공헌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정 명예회장의 일대기 '이봐, 해봤어?'의 저자인 박정웅 메이텍인터내셔널 회장은 "기업인들이 도덕적인 측면에서 모범을 보이지 못하면 경제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퇴색될 수밖에 없다는 게 아산의 소신이었다"며 "다른 재벌가에 비해 유독 현대가 후손들이 병역을 제대로 완수한 경우가 많은 것은 자랄 때부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선대의 가르침을 들어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나윤석기자 nagija@sed.co.kr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