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파일] 단원고 3학년, 그들이 졸업을 할 수 없는 이유

박수진 기자 2016. 1. 11. 15: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일요일 오후 4시16분.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 단원고등학교에서는 뒤늦은 방학식이 열렸습니다.  2년 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학생과 교사 262명의 겨울 방학식이였습니다.

어느새 참사 당시 2학년이었던 학생들은 고등학교 3학년이 돼 졸업을 앞두고 있습니다. 희생돼 하늘의 별이 된 학생들이 살아있었다면,  ‘설레는 스무살’을 앞두고 미래에 대한 꿈에 부풀어 있었을 겁니다. 

생존 학생들은 내일(12일) 졸업식을 합니다.  하지만 희생된 학생들을 위해서는 졸업식 대신 방학식이 열린 것입니다. 시민단체와 유가족들이 아직 시신을 찾지 못한 2명의 선생님, 4명의 친구들이 돌아올 때까지는 학교를 떠날 수 없다고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4.16 유가족대책협의회는 희생된 학생들을 위한 명예졸업식을 열겠다는 학교 측의 제안을 거부했습니다. 세월호가 인양돼 아직 수습하지 못한 학생들을 모두 찾으면 졸업식을 열겠다는 입장입니다. 

1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등학교에서 열린

그렇게, 기한이 정해지지 않은 긴 방학이 시작됐습니다. 단원고의 시간은 2014년 4월16일에 멈춰져있습니다. 이제는 ‘명예 3학년’이 된, 사고 당시 2학년 1반부터 10반 학생들이 수업을 받던 교실에는 2014년 4월 학습계획표가 붙어 있고, 교무실 칠판에는 세월호를 타고 떠났던 단원고 2학년의 수학여행 일정이 그대로 적혀 있습니다. 

학생들의 빈자리는 2년 간 이곳을 찾았던 많은 사람들의 그리움으로 가득합니다. 칠판에, 창문에, 책상에 가득 찬 메모들은 하나 같이 말하고 있었습니다. 보고 싶다고, 또 보고 싶다고. 

● 단원고 ‘기억교실’ 존치,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등학교에서 열린

희생 학생들의 졸업식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이유는 또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 전까지 학생들이 생활했고, 참사 이후 추모의 공간으로 남았던 10개의 교실을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유가족들은 이 교실을 ‘4.16 기억교실’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경기도 교육청은 단원고 정문 건너편에 지상 5층 규모의 가칭 ‘4.16 민주시민교육원’을 지어 기억교실을 옮기자고 유가족에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유족들은 옮길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학교 교실에 그대로 남겨 아이들의 온기와 세월호 참사의 기억을 그대로 보존해야한다는 생각입니다. 

기억교실 존치 논란은 세월호 참사 직후부터 계속돼 왔습니다.  경기도교육청은 졸업식까지 기억교실을 보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생존 학생들이 내일 졸업을 하면서, '기억교실' 보존 문제가 눈 앞의 현실로 다가온 겁니다. 유가족대책협의회가 ‘명예졸업식’을 거부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학교 측은 300명의 신입생을 수용하려면 '기억교실' 이전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신입생을 수용하려면 현재 3학년이 사용하는 교실 4개 이외에 8개 교실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합니다. 세월호 참사의 기억을 보존하는 것 만큼 학교 기능의 정상화도 필요하다는 학내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1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등학교에서 열린

유가족협의회는 교실을 증축해 부족한 수업공간을 확보하고, 기억교실과 재학생 수업공간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따로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4.16 민주시민교육원을 지어 추모하겠다는 교육청의 방안은 부지 확보나 예산 문제가 검토도 되지 않았을 뿐더러, “수백억 원을 들여 역사를 박제화 하겠다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은 학생들을 추모하는 방법에 정답은 없습니다. 잊지 말아야 할 일을 강제로 지우는 것도, 해결해야 할 현실적인 문제들이 기억의 벽에 가로 막히는 것도, 모두 피해야 할 일입니다.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치부하기 보다는 모두가 머리와 마음을 모아 기억과 현실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 세월호 '슬픈 방학식'…빈 자리 채운 시민들
 

박수진 기자star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