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우리나라 복지 시설를 평가한 결과 사회복지관이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고 노인복지관이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습니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직영시설이 민간위탁시설보다 훨씬 열악했습니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사회복지 사업법에 따라 2015년도에 노인복지관(노인여가복지시설), 양로시설(노인주거복지시설), 사회복지관과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평가 결과 4개 시설유형의 총점 평균은 88.8점으로 2012년 평가 결과와 비교했을 때 2.0점 올랐습니다. 사회복지관이 91.0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규시설이 가장 많았던 노인 복지관이 85.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평가등급별로는 2015년도 평가대상 893개 시설 중 A등급은 607개소(72.4%), F등급은 55개소(6.6%)로 조사됐습니다. A등급의 비율을 보면 사회복지관 82.5%, 노인복지관 69.0%, 양로시설 59.1%,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44.8%의 순이었습니다.
운영주체별로는 지자체 직영시설은 평균 57.8점(75개소)으로 민간위탁시설 92.7점(602개소)과 비교해 봤을 때 평가점수 격차가 매우 컸습니다. 직영시설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상위 우수시설과 종전 평가대비 개선 정도가 큰 시설에 대해서 정부표창, 인센티브를 지원할 예정"이라며 "미흡한 평가를 받은 시설에 대해서는 품질관리 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2015년도 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는 보건복지부(http:// www.mw.go.kr),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http://www.w4c.go.kr) 등에서 확인가능 합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역시 유재석, 100억 돈 값…누적 1700만뷰 대박
- "머리 2번 감기는 미용사에게 70만원 과태료"…최악의 가뭄 겪는 이탈리아
- "요즘 2% 금리라고 하면 다들 부러워합니다"
- 주40시간 일하는 알바생 月 200만원 받는다
- 5만 원 주유하면 948㎞ 주행할 수 있는 나라 어디?…한국은 325㎞ 간다
- 정말 다이아몬드가 비처럼 쏟아질까?[과학을읽다]
- "낮잠 카페서 수액주사"…그러다 고발당합니다
- 아파트 미화원에 "관리소장, 사회악" 문자 보낸 입주민 벌금 100만원 확정
- "궁하면 통한다"…'탈일본 성공'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일본 수출규제 3년]
- 갤럽 "尹대통령 지지율 43%…한달 사이에 10%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