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동전 없는 사회'로 변신 중..돼지저금통이 앞으로는 추억이 될까요

임현우 2017. 3. 10. 16: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이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을 펼칠 12개 업체를 선정했다.

선정된 업체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4월부터 거스름돈을 동전으로 받는 대신 선불카드에 적립할 수 있다.

중앙은행이 이 사업을 벌이는 이유는 잘 쓰지도 않는 동전에 제조·유통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시중에 풀린 10·50·100·500원 동전은 224억개(지난해 10월 기준). 하지만 서랍이나 저금통에 처박히는 일이 많아 환수율은 20%대에 그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임현우 기자 ] ■ 금주의 시사용어 

동전 없는 사회

한국은행이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을 펼칠 12개 업체를 선정했다. 선정된 업체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4월부터 거스름돈을 동전으로 받는 대신 선불카드에 적립할 수 있다. 무거운 동전을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진다.  
▶한국경제신문 3월4일자 A2면


요즘 직장인 중엔 지갑 없이 휴대폰과 신용카드만 들고 다니는 사람이 많다. 단돈 몇백원짜리 물건도 카드나 모바일로 결제할 수 있게 되면서다. 주머니를 무겁게 하고 짤랑짤랑 요란한 소음을 내는 동전은 ‘애물단지’ 취급을 받고 있다. 이런 흐름을 반영해 한국은행이 ‘동전 줄이기 작전’에 나섰다. 일상생활에서 잔돈을 전자화폐, 포인트, 선불카드 등으로 주고받도록 해 동전이 필요없게끔 하는 이른바 ‘동전 없는 사회(coinless society)’를 만든다는 것이다. 동전을 완전히 없앤다기보다는, 전자금융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동전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겠다는 의미다.

한은이 선정한 1단계 시범사업자 12곳에는 CU·세븐일레븐·위드미·이마트·롯데마트 등 유명 편의점·마트가 두루 포함됐다. 반응을 살펴가며 대상 업종을 늘려갈 계획이다. 휴대폰번호만 알려주면 미리 등록한 은행 계좌로 잔돈을 송금해주는 등 다양한 적립 수단도 추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0년 동전 없는 사회를 구현한다는 게 한은의 목표다.

중앙은행이 이 사업을 벌이는 이유는 잘 쓰지도 않는 동전에 제조·유통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한은은 새 동전을 찍는 데 해마다 500억원 이상을 쓴다. 시중에 풀린 10·50·100·500원 동전은 224억개(지난해 10월 기준). 하지만 서랍이나 저금통에 처박히는 일이 많아 환수율은 20%대에 그치고 있다. 찌그러지거나 녹슬어 폐기된 동전이 작년에만 3980만개나 됐다. 반면 한국인의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보유율은 지난해 90.2%, 96.1%였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급수단은 2015년을 기점으로 신용카드(39.7%)가 현금(36%)을 앞질렀다. 현금을 대체할 전자화폐는 세계적으로 이미 700종 이상 개발됐다.

현금 사용이 줄어드는 건 세계적 추세다. 몇몇 선진국은 아예 동전을 넘어 ‘현금 없는 사회(cashless society)’를 지향하고 있다. 스웨덴은 현금거래 비중이 20%로 떨어졌다. 현금을 비축하지 않는 은행이 늘면서 금고를 턴 강도가 아무 것도 못 훔치고 잡힌 황당한 일도 있었다. 프랑스와 벨기에는 일정 금액 이상의 물건은 현금으로 살 수 없도록 했다. 덴마크는 올해부터 화폐 생산을 중단했으며, 필요할 때만 다른 나라에 위탁 생산하기로 했다.

현금 없는 사회에서는 모든 금융거래 내역이 서버에 기록되기 때문에 탈세, 뇌물 등 불법거래를 줄이는 효과도 기대된다. 하지만 장점만 있는 건 아니다. 해킹, 금융사기, 사생활 침해 같은 부작용을 우려하는 전문가도 많다. 유명한 전자화폐 ‘비트코인’은 서버가 털려 수백억원어치를 도둑맞는 사건을 수 차례 겪었다. 신기술에 익숙치 않은 노년층, 장애인, 저소득층의 경제생활에 걸림돌이 될 것이란 지적도 있다.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tardis@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