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기혼여성 가치관..결혼필수→선택, 이혼불가→가능으로 대이동
입력 2017. 05. 20. 06:01기사 도구 모음
결혼과 이혼을 바라보는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태도가 2000년 이후 급격히 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보건사회연구원의 '출산력 조사를 활용한 한국의 출산력 변천 과정 연구' 보고서(오영희 김경래 신창우 배혜원)에 따르면 15∼49세 기혼여성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필수적 인식의 비중은 2000년 19.2%에서 2015년 11.5%로 뚝 떨어졌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결혼과 이혼을 바라보는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태도가 2000년 이후 급격히 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하는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이혼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것'에서 '이유가 있으면 해야 하는 것'으로 대이동을 하고 있다.
20일 보건사회연구원의 '출산력 조사를 활용한 한국의 출산력 변천 과정 연구' 보고서(오영희 김경래 신창우 배혜원)에 따르면 15∼49세 기혼여성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필수적 인식의 비중은 2000년 19.2%에서 2015년 11.5%로 뚝 떨어졌다.
같은 기간에 결혼을 '하는 편이 좋다'는 선택적 인식은 30.5%에서 37.7%로 늘었고,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는 유보적 태도는 44.2%에서 44.4%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기혼여성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여성의 적정 평균 결혼연령은 2006년 27.3세에서 2015년 30세로 2.7세 높아졌다.
이혼에 대한 기혼여성의 가치관도 '이유가 있으면 해야 한다'는 긍정적 의견이 2000년 13.8%에서 2012년 26.2%로 12.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가급적 이혼해서는 안 된다'와 '절대로 이혼해서는 안 된다' 등 이혼에 대한 부정적 의견은 같은 기간에 47.5%에서 34.7%로 급격히 줄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혼할 수도 있다'는 유보적 태도는 2000년 33.9%에서 2012년 36.4%로 소폭 증가했다.
기혼여성의 재혼에 대한 태도는 '해도 되고 안 해도 좋다'는 유보적 의견이 2000년 50.2%, 2006년 55.8%, 2012년 58.9% 등으로 조사연도와 무관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출산력 조사는 보사연이 3년마다 임신경험이 있는 기혼여성(15∼49세)을 대상으로 결혼과 출산, 자녀, 성 역할 분담 등 가족 가치관과 관련해 실시하는 조사다. 정식 명칭은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 조사'다.
sh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벽에 밀치고 목 조르고"…피트·졸리 6년전 기내 난투극 공개
- 검찰, '폭행·흉기 위협' 정창욱 셰프 징역 1년6개월 구형
- '가처분 폭탄' 던진 이준석에 與 부글부글…"너죽고 나죽자식"
- '우영우' 떠난 날, 서울 밤하늘에 뜬 고래가 뜬 이유?
- 스타벅스 떠난 모스크바에 짝퉁 '스타스 커피' 오픈
- "마약 은어 들려"…30대 핀란드 총리 '광란의 파티' 영상 보니
- 스페인서 선돌 500개로 이뤄진 거석단지 발견…"유럽 최대급"
- 영화 '박하사탕'·'아부지' 배우 이병철 별세
- 이름이 너무 길어 통장 못 만들었다면…간접차별!
- 부모 혈액형이 모두 B형인데 자녀가 A형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