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앵커]
올해 안에 사드 발사대 1기만 배치될 예정이었는데 갑자기 일정이 빨라졌다, 문재인 대통령의 이 발언에 대한 파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청와대 측은 박근혜 정부 관계자들이 탄핵 국면과 맞물려서 조기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그러니까 미국이 압박해서 조기 배치된 게 아니라 박근혜 정부 측이 서둘렀다는 겁니다.
고석승 기자입니다.
[기자]
[금년 하반기까지 사드 미사일 한 기를 야전 배치하고 그 다음에 나머지 다섯 기는 내년도에 배치하기로…]
해외언론과 인터뷰에서 나온 이 발언의 파장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우택/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미국을 거꾸로 압박하기 위한 의도라면 이는 우리 안보 기틀인 한·미 동맹과 양국 간 신뢰 문제에 심각한 균열을 불러올 수…]
하지만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과 각을 세우려 한 게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대신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 관계자들이 탄핵 정국에서 사드 배치를 정권 교체 전에 빨리 처리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박근혜 정부 책임론을 제기하면서 "조기 배치와 관련해 정황상 짐작이 가는 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둘 다 사드 조기 배치가 비정상적 상황이고 그 상황의 책임은 박근혜 정부에게 있다는 점을 강조한 설명입니다.
다만 이런 설명에도 야당은 군사전력 배치 과정을 공개한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JTBC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사드 반대" 시민단체, 미 대사관 주변서 '인간 띠' 행진
- '사드 연내 1기' 발언..'예민한 미국' 겨냥 외교 전략?
- 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사드 배치' 한발 더 나간 정부
- 일, 북 미사일 대비 '이지스 어쇼어' 도입..사드는 보류
- 문 대통령, '사드 합의' 공개..한미 정상회담 영향 미치나
- 북한,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2발 발사…윤 대통령 취임 100일 '무력 시위'
- '54분' 취임 100일 회견…윤 대통령 "한치도 국민 뜻 벗어나지 않겠다"
- 민주 비대위, '기소 시 당직정지' 당헌 유지 결정
- 스토킹 범죄자도 전자발찌 채운다…최장 10년 부착 추진
- 홍콩 매체 "중국군, 미군 방해로 펠로시 비행기 추적못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