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호주 워킹홀리데이 상한 연령 30→35세로 조만간 확대 예정
입력 2017. 07. 06. 15:15 수정 2017. 07. 07. 13:44기사 도구 모음
호주 워킹홀리데이(워홀) 비자 신청 상한 연령이 현재 30세에서 35세로 상향 조정돼 조만간 시행될 예정이다.
호주 이민부는 워홀 비자 신청 상한 연령을 35세로 올리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국과의 협의를 통해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
앞서 호주 정부는 지난해 9월 워홀 비자 소지자에게도 세금을 부과하기로 하면서 비자 신청 연령 상향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현재 워홀 비자로 호주를 찾는 한국 젊은이는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시드니=연합뉴스) 김기성 특파원 = 호주 워킹홀리데이(워홀) 비자 신청 상한 연령이 현재 30세에서 35세로 상향 조정돼 조만간 시행될 예정이다.
호주 이민부는 워홀 비자 신청 상한 연령을 35세로 올리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국과의 협의를 통해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
시드니의 한 변호사는 "이달 초 시행 예정으로 지난달 하순 법안이 올라왔으나 각국과 맺은 협정 내용의 수정이 필요해 미뤄진 것으로 보인다"며 "이민부가 각국과 협의에 나서겠다고 한 만큼 조만간 시행될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워홀 비자 신청이 가능한 최저 연령은 18세다.
앞서 호주 정부는 지난해 9월 워홀 비자 소지자에게도 세금을 부과하기로 하면서 비자 신청 연령 상향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워홀 프로그램은 젊은이들이 호주에 1년 동안 머물며 여행과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관광취업비자 제도다. 이들은 농어촌의 농장이나 육가공 공장 등에서 88일 동안 일하면 체류 기간을 1년 연장할 수 있다.
현재 워홀 비자로 호주를 찾는 한국 젊은이는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호주 자원경기가 활황세이던 2010년대 초반 한때 워홀 비자로 호주에 체류하던 한국인 젊은이는 약 2만5천 명에 달했다.
하지만 이 수는 계속 줄어 지난해 6월 말 1만6천808명으로 줄었고 가장 최근의 집계인 지난해 말에는 1만5천624명까지 다시 감소했다.
이런 감소는 호주 달러화의 약세, 고물가와 지속적인 주거비 상승, 호주 경제 침체에 따른 일자리 사정 악화 등이 겹쳤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세금을 내지 않던 연 1만8천200 호주달러(약 1천600만 원) 이하 소득자에게 올해부터 15%의 세금을 물리기로 한 것도 악재가 됐다.
전문가들은 호주달러화 약세나 높은 물가 등을 고려할 때 워홀 비자로 들어와 돈을 모으기는 어렵다며 워홀 프로그램 본래 취지에 맞게 견문을 넓히는 쪽에 초점을 둘 것을 권고하고 있다.
특히 호주에서 지내려면 무엇보다 영어 구사력이 중요한 만큼 사전준비를 철저히 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cool21@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공효진, 가수 케빈오와 10월 비공개 결혼…열애 인정 6개월만
- 3번째 마약 에이미 "부스럼 만들면 국내생활 못할까봐 잘못선택"
- 88세 美할머니, 실버타운 내 연못서 악어 공격에 사망
- 판교 한 오피스텔 집중호우 피해액 226억원…주민 자체조사 결과
- 한강서 실종된 20대 숨진 채 발견…"범죄 혐의점 없어"
- 강타 "2000년 베이징 콘서트로 '한류' 단어 알려져"
- 수업 중 책상 치고 욕설하며 청각장애 교사 비하한 중학생들
- "신혼 현직 경찰 내연녀, 아내에 1천만원 배상하라"
- 美미성년 성폭행범, 100년형 선고 직전 독극물 '꿀꺽'
- 12년째 짜장면값 2천원 받는 중식집 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