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 보복에도 반도체는 끄떡없어..왜?

박영민 기자 2017. 10. 12. 18: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對中 수출 2개월 연속↑..더 길어지면 경계해야

(지디넷코리아=박영민 기자)정부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의 무역 보복이 장기화 되면서 산업 곳곳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국내 반도체 업계는 끄떡 없는 모습이다.

최근 현대자동차 중국 공장의 일시적 가동 중단을 비롯, 롯데의 중국 사업 철수 등으로 사드 보복이 산업 전반에 번지는 듯 했다.

그러나 '없어서 못 판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초호황기를 맞고 있는 반도체 업계엔 아직까지 큰 악재는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 사드 보복으로 가세(家勢) 기운 와중에…반도체 '효자' 됐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사드 보복 여파는 이미 반도체 부문을 제외한 산업계 전반에 번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CEIC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우리나라의 대중(對中) 수입 시장 점유율은 3년 만에 10% 이하로 떨어져 9.4%를 기록됐다. ▲2012년(평균 점유율 9.3%) ▲2013년(9.4%) ▲2014년(9.7%) ▲2015년(10.4%) 이후 유지해 온 10%선이 무너진 것.

업계는 그나마 반도체와 정유산업이 사드 여파로 벼랑 끝에 내몰린 국산품의 대중국 수출 점유율을 붙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1일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산업 수출액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중 반도체는 96.9억불의 수출액을 기록해 전체 수출액을 견인했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지난 8월까지 반도체, 석유화학제품이 대중국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32.8%)에 비해 7.2% 증가했다.

또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중 반도체 수출 비중은 58억6천만 달러(약 6조5천억원)로 전년 대비 0.8% 늘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일반 품목의 수출 부진으로 인해 절대적인 파이는 작아졌고, 그 안에서 반도체 등 몇몇 산업부문 점유율의 상대적 비중은 커졌다"며 "다른 산업군 상황을 볼 때 사드가 유례 없는 무역 보복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반도체 수출량이 일반 산업 품목과 똑같이 줄었다면 전체 수출 점유율은 더 하락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반도체=대체불가 '중간재'…中, 제재할 수 없어

유통업계와 관광업계가 중국의 사드 보복 여파로 몸살을 앓는 것과 달리, 대중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11월부터 7월까지 9개월 연속 증가했다. 공교롭게도, 반도체 수출 만큼은 사드 사태 이후 더 나아지는 모습이다.

중국의 무역 보복으로 다른 산업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같은 국산품인 반도체는 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일까. 해답 역시 중국에서 찾을 수 있다.

반도체는 현재 중국 내부 기술로 대체 불가능한 '중간재'로 정의 가능하다. 반도체 산업 만큼은 아직까지 한-중 간 기술 격차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세계최초로 양산하는 '자동차용 eUFS' 메모리 반도체 제품. (사진=삼성전자)

최근 중국 해관총서(세관) 무역통계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자국 생산 IT기기에 들어가는 반도체의 90% 가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그 중 대부분을 한국으로부터 수입한다. 사드 사태 이후의 자료다.

이는 반도체의 경우 중국의 대한(對韓) 수입 의존도가 아직까진 높다는 것을 입증한다. 즉, 반도체가 사상 최대의 호황을 맞은 점을 비롯해, 중국이 세트(완제품)를 생산키 위해 한국으로부터 핵심 부품인 반도체을 수입할 수 밖에 없다는 것. 사드 보복의 피해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에 대한 제재 조치는 아직까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한국의 사드 배치에 반발해 유통·관광 업계서 제재를 시도하는 가운데, 한국산 반도체는 꾸준히 사갔다는 의미다.

■ 中 '반도체 자급의 꿈' 2025년 다가와…"안심은 금물"

일각에선 사드 보복이 더 장기화될 경우, '최후의 보루'인 반도체 역시 안심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가뜩이나 수출 의존적인 국내 반도체 산업이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서 생산되는 반도체의 94%가 해외로 수출되고, 이 중 중국 비중은 40%에 육박한다.

중국의 추격도 심상치 않다. 정부 주도의 반도체 산업 투자로 소재와 첨단 부품의 해외 의존도 줄이기에 적극 나서면서 부터다.

2015년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 2025(MIC 2025)' 보고서를 통해 2025년까지 자국산 반도체 비율을 70%까지 상향 조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계획에 쏟아붓는 돈은 무려 165조 원이다.

칭화유니그룹, 푸젠진화반도체 등 중국 업체들은 당장 내년 1분기부터 반도체 공정 장비에 연간 총 20조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칭화유니그룹 로고.

이와 함께 중국 최초의 메모리 반도체 생산공장으로 알려진 우한 '국가메모리기지' 1기가 이르면 내년부터 1차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지난달 기초 건물 공사를 완료한 상태다. 업계는 이 공장의 연간 생산 규모를 100억 달러(약 11조4천억원)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지 건설을 주도하는 것은 반도체 업체 우한신신을 인수한 중국의 대표적 팹리스(fabless·반도체 설계 업체) 기업 칭화유니다. 칭화유니는 지난 1월, 난징에 300억 달러(약 35조원) 규모의 반도체 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10년 안에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점유율 5위에 진입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처럼 중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육성에 몰두하면서, 장기적으로 국내 반도체 업계가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보호무역주의 성격이 강한 중국 정부 시책을 고려해볼 때, 메모리반도체 공급이 시작되면 우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물량부터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 업체들이 기술 격차를 계속 유지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영민 기자(pym@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