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앵커]
이명박 정부 청와대가 전용회선을 깔아놓고, 노무현 정부의 대통령 기록물을 수시로 열람한 게 확인됐습니다. 특히 2007년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해, NLL 포기 발언으로 논란일 땐 회담 자료를 들여다 봤습니다.
이희정 기자입니다.
[기자]
MB정부가 청와대에 설치한 전용선을 통해 국가기록원에 접속한 기록입니다.
2012년 10월 11일에만 2차 남북정상회담 문건을 27차례 열람했습니다.
새누리당이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 포기발언을 했다"면서 문재인 야당 대선후보를 공격한 지 사흘 만입니다.
2달 뒤에는 박근혜 후보 캠프 김무성 본부장도 같은 주장을 했다 검찰 조사를 받았는데 당시, 이들의 정보 출처가 청와대가 아니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또 MB정부 청와대는 공영방송과 충돌하던 2008년 4월엔 방송 관련 문건들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 땐 한·미 FTA 기록물을 집중 열람했습니다.
이렇게 노무현 정부 대통령기록물을 원격 열람한 게 모두 3800여 차례에 이릅니다.
[김영진/더불어민주당 의원 : (MB정부가) 정치적 국면을 이용하기 위해 (노무현 정부 대통령) 기록물을 이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가기록원 측은 "생산기관, 즉 청와대가 요청해 당시 규정 대로 열람을 허용했다"는 입장이지만 외부에서 대통령기록물을 열람한 건 부적절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이 전용선은 박근혜 정부까지 유지되다 탄핵 직후 차단됐으며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기록관 직원이 파견돼 관리는 방식으로 2달 간만 운영됐습니다.
(자료제공 :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실)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JTBC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이재만·안봉근 구속.."뇌물수수 공범" 박근혜 조사 불가피
- '특활비 상납' 뇌물죄 성립될까..관건은 '직무 관련성'
- '정치자금법 위반' 이군현 1심 징역형 집유..의원직 상실위기
- '국정원 돈 수뢰' 이재만·안봉근 구속..법원 "혐의 소명"
- 서훈 국정원장 "상납한 40억, 특수공작사업비에서 나가"
- 미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 동참 요청…정부 '공감'
- 서울 도심서 민주노총 대규모 집회…용산 대통령실 행진도
- WHO "유럽서 원숭이두창 감염 2주새 3배…긴급조처 필요"
- [D:리포트] 두쪽 난 미국…낙태권 판결, 어떻게 뒤집힌 걸까
- 베트남전 '네이팜탄 소녀' 50년만에 화상치료 마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