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필리핀 마욘화산 폭발 가능성 커져..주민 1만2천명 대피령
전종선 기자 입력 2018. 01. 16. 00:48기사 도구 모음
필리핀 중부 알바이 주에 있는 마욘화산의 폭발 가능성이 커지면서 인근 주민 수천 명이 대피했다.
필리핀 지진화산연구소는 14일 밤(현지시간) 마욘화산에 대한 경보 수위를 2단계(불안 증가)에서 3단계(위험한 폭발 경향 증가)로 높였다.
지진화산연구소는 "마그마가 마욘화산 분화구에 있으며 위험한 폭발이 수일이나 수주일 안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2013년에는 마욘화산이 폭발해 외국인을 비롯한 등산객 5명이 숨지고 10여 명이 다쳤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서울경제] 필리핀 중부 알바이 주에 있는 마욘화산의 폭발 가능성이 커지면서 인근 주민 수천 명이 대피했다.
필리핀 지진화산연구소는 14일 밤(현지시간) 마욘화산에 대한 경보 수위를 2단계(불안 증가)에서 3단계(위험한 폭발 경향 증가)로 높였다.
지진화산연구소는 “마그마가 마욘화산 분화구에 있으며 위험한 폭발이 수일이나 수주일 안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소는 마욘화산 반경 6㎞를 위험지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이를 남쪽 7㎞ 지역으로 확대했다. 화산이 폭발하면 이 지역에서 낙석이나 산사태 같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욘화산은 지난 13일 오후부터 화산재와 가스 등을 몇 차례 분출했다. 15일에는 분화구에서 용암이 3㎞가량 흘러내리는 모습이 목격됐다.
AP 통신은 화산 인근 마을의 주민 9천명 이상이 대피했다고 보도했으며 AFP 통신은 1만2천명 이상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고 전했다.
2013년에는 마욘화산이 폭발해 외국인을 비롯한 등산객 5명이 숨지고 10여 명이 다쳤다. 1814년에는 1천200명 이상이 사망한 최악의 마욘화산 폭발이 일어났다.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 비행기로 약 1시간 거리에 있는 마욘화산은 해발 2천472m의 활화산으로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기자 jjs7377@sedaily.com
서울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발리 화산' 프라야 국제공항 운영 재개 "전세기 비용 탑승자, 외교부 나눠 부담" 합리적 수준 청구?
- 발리 화산 분화에 발 묶였던 韓여행객 입국
- 외교부 "발리 화산분화 관련 30일부터 전세기 운항"
- 사흘 만에 발리 국제공항 운영 재개.."화산재에 막혔던 하늘길 뚫린다"
- 발리 아궁 화산 분화로 밝묶인 여행객 12만명으로 급증
- 발리 화산폭발, 발 묶인 한국인 관광객들 "대사관 연락 안 돼, 뭐하나"
- 발리 국제공항, 분화 계속돼 여전히 폐쇄 "온통 화산재" 피해 더욱 커질 것
- [발리 아궁화산 분화]화산재 확산에 국제공항 29일까지 폐쇄
- [발리 아궁화산 경보단계 최고] 화산재 7,900m까지 치솟아..깜깜한 동남아 하늘길
- 발리 아궁 화산, 인근 롬복섬 국제공항 잠정 폐쇄 '5500여명 발 묶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