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업비 '뻥튀기'..실시간 사찰 방재 시스템도 '먹통'

이호건 기자 입력 2018. 7. 31. 21:24 수정 2018. 7. 31. 23: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의심스러운 부분은 더 있습니다.

평균 2억 5천만 원씩으로 책정된 사업비가 과연 적정한 건지, 또 사찰에 설치된 방재시스템은 지금 잘 가동되고 있는지 이호건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평균 사업비 2억 5천만 원 가운데 5천만 원을 업체가 사찰에 줬다가 다시 받았으니 실제 사업비는 많아 봐야 2억 원이면 충분했던 셈입니다.

4대4대2 비율에 맞춰 사찰들이 제대로 돈을 댔다면 정부와 지자체의 부담도 1억 원씩이 아니라 8천만 원씩이면 됐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수상한 점은 또 있습니다. 시행 첫해인 2012년에는 전력이 자동 복구되는 누전차단기가 설치됐는데 감전 위험과 법규 위반 지적 때문에 이듬해부터는 수동으로 복구하는 누전차단기로 바뀌었습니다.

그런데 수동 차단기 가격은 자동의 5분의 1 정도, 설비 단가가 낮아졌을 텐데 공사비는 그대로 받아왔습니다.

[조계종 총무원 관계자 : (지금은 사업비 축소할 수 있는 거 아닌가요?) 전기안전공사 인증받은 업체예요. 그 기준 맞춰 시장가가 형성되는 거고, 그 시장가를 저희가 뭐라 할 수 있는 게 아니지 않나요?]

장비가 설치된 사찰들을 살펴봤습니다. 누전이 되면 전기를 차단하는 분전반이 아무리 힘을 줘도 열리지 않습니다.

[사찰 관계자 : 시내 정전되거나 하면 이것도 차단기 떨어져 있거든요. 그러면 올려야 하는데 안 열리잖아요.]

화재 경보가 울려도 통합관제센터를 운영한다던 시공 업체에서는 연락도 없다고 합니다.

업체를 찾아가 봤습니다. 모니터에 방재 시스템이 설치된 사찰들이 표시돼 있는데 모니터를 지켜보는 직원은 보이지 않습니다.

[방재 시스템 시공업체 직원 : (이게 사찰 방재 시스템인가요?) 네. 이것도 절 나온…. (어떤 식으로 되는지 설명 좀…) 잘 몰라 가지고….]

취재진은 검찰 수사를 받는 두 업체를 여러 차례 접촉해 사업비 규모와 장비 운용에 관해 질문했지만 업체들은 답하지 않았습니다.

(영상편집 : 박지인, VJ : 김종갑·이준영) 

이호건 기자hogeni@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