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 SH 직원 '15억 횡령' 후 퇴사.."회사는 1년 동안 몰랐다"

김종윤 기자 2018. 8. 23. 14: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 직원이 서류를 조작해 10억원대의 토지보상금액을 횡령하는 초유의 사건이 발생했다.

정작 SH는 해당 문제를 1년이 지나서야 인지하고 고발 등 후속조치에 나서 늑장대응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SH 직원의 횡령 사건은 공사 창립 이후 처음 발생한 것으로, 횡령 규모가 15억원에 달하는 거액인데다 특히 횡령의 당사자가 큰 돈을 주무르는 보상업무를 하던 직원이라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H, 퇴사 1년 지나서야 비위사실 인지..늑장대응 논란
서울시 공기업 SH 이미지 타격..市 "상황 지켜보는 중"
서울주택도시공사(SH) 본사© News1

(서울=뉴스1) 김종윤 기자 = 서울주택도시공사(SH) 직원이 서류를 조작해 10억원대의 토지보상금액을 횡령하는 초유의 사건이 발생했다. 정작 SH는 해당 문제를 1년이 지나서야 인지하고 고발 등 후속조치에 나서 늑장대응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일부에선 토지보상 업무 시스템에 허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고덕강일지구 토지보상 업무를 담당하던 A씨(42)는 지난해 4월 자신의 가족(아내) 계좌로 약 15억원을 입금했다.

차장 직급으로 보상업무에 해박했던 A씨는 서류를 감쪽같이 위조해 거액을 빼돌릴 수 있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개인 신상의 이유를 들어 퇴사했다.

문제는 이같은 횡령사실을 SH는 까마득히 모르고 있다가 1년이 지나서야 눈치챘다는 점이다. SH는 올해 6월 실시한 자체감사에서 A씨의 횡령사실을 인지하고 부랴부랴 경찰에 고발했다. 뒤늦게 A씨 재산에 가압류 조치를 내린 상태다. A씨는 현재 구속상태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

SH의 사후 대응도 논란을 빚고 있다. 당사자가 구속되고 경찰 수사가 진행되는 상황인데도 SH측은 이번 사건을 개인 일탈행위로 규정하고 숨기기에만 급급해 하는 모습이다. SH 직원의 횡령 사건은 공사 창립 이후 처음 발생한 것으로, 횡령 규모가 15억원에 달하는 거액인데다 특히 횡령의 당사자가 큰 돈을 주무르는 보상업무를 하던 직원이라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SH는 이번 사건을 개인의 일탈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재발 방지 차원에서라도 근본적인 문제점을 찾아내고 처방을 내렸어야 했다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최근 SH는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가 계속되면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지난 8일 감사원은 '공공부문 불공정 관행 기동점검' 보고서를 공개하며 SH의 갑질 행태를 적발했다. 이들은 하도급사에 자택 수리와 사무실 리모델링을 요구하는 등 '갑질'을 일삼았다. 공사감독 담당자는 등산화·노트북·현금까지 받아 챙겼다. 여기에 15억원에 달하는 횡령과 늑장 인지 사실까지 밝혀지면서 직원 관리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SH 관계자는 "토지보상 대상자가 수십 수백명에 달해 횡령을 즉시 발견하지 못했다"며 "내부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같은 일련의 사태로 서울시 주택정책을 최일선에서 수행하는 SH의 기업 이미지는 큰 타격을 입게 됐다. 아울러 올해 초 취임해 도시재생을 통한 주거복지 향상과 SH의 재무 건전성 확보 등에 공을 들여온 김세용 사장의 리더십에도 생채기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서울시도 이번 횡령사건을 보고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산하기관 직원 비위행위가 발생하면 서울시가 직접 징계 수위를 결정한다. 다만 SH와 같이 규모가 큰 조직이면 사내 감사팀에서 자체적으로 확인한다. 서울시는 현재 A씨가 퇴사한 상황인데다 횡령 액수가 커 경찰 조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로서도 산하기관 관리 부실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재산환수 등 사후 처리가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서울시가 직접 확인할 것"이라며 "일단 경찰 조사와 SH의 조치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passionkjy@news1.kr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