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노조까지 가세..가열되는 청장 경질 논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통계청 공무원 노동조합이 황수경 전 통계청장 경질과 관련 "통계의 공정성과 중립성을 무너뜨리는 어리석은 조치"라고 밝혀 통계청장 교체 논란이 더욱 가열되고 있다.
앞서 청와대는 2기 개각을 앞둔 정기인사의 일환이라고 해명했지만, 향후 강신욱 신임 통계청장 체제 하에서 나오는 통계 지표에 대한 정치권의 불신은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통계청장 경질 논란이 향후 통계청의 통계 지표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강나훔 기자] 통계청 공무원 노동조합이 황수경 전 통계청장 경질과 관련 "통계의 공정성과 중립성을 무너뜨리는 어리석은 조치"라고 밝혀 통계청장 교체 논란이 더욱 가열되고 있다.
앞서 청와대는 2기 개각을 앞둔 정기인사의 일환이라고 해명했지만, 향후 강신욱 신임 통계청장 체제 하에서 나오는 통계 지표에 대한 정치권의 불신은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통계청 공무원 노조는 지난 27일 내부게시판에 성명서를 올려 "역대 그 어느 청장보다 통계의 중립을 지키기 위해, 조직의 수평적 문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을 아까지 않았던 황수경 청장이 갑자기 떠나갔다"며 "현 제도상 통계청장은 임기가 보장되지 않는 현실이지만 한국은행 총재처럼 정치적 중립성을 확고히 지켜줘야 할 자리임에도 아무런 이유 없이 경질됐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어 "촛불혁명을 바탕으로 공정과 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탄생한 정부의 인사가 이 정도 수준밖에 되지 않는 건지, 참으로 참담하기 그지없다"며 "청와대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국민과 통계청 구성원 모두에게 납득 가능한 해명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황 전 청장 논란의 시작은 통계청이 지난 17일 '2018년 7월 고용동향'을 발표하면서부터다. 통계청은 당시 7월 취업자가 2708만3000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5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0년 1월 마이너스 1만 명을 기록한 후 8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것. 이는 곧 야당의 ‘고용 쇼크’ 공세의 단초가 됐다.
이와 더불어 23일에는 '2018년 2분기 소득 부문 가계동향 조사 결과’를 발표, 소득 최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고, 최상위 20%(5분위) 고소득층은 10.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면서 정부는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켰다는 비난에도 직면하게 됐다.
이후 '공교롭게도' 정부 2기 개각에 따른 차관 인사에 황 전 청장의 교체가 확정되자 '정부 입맛에 맞지 않는 통계 발표로 경질 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져 나왔다. 이는 곧바로 야당의 질타의 대상이 됐다.
여기에 황 전 청장이 모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제가 그렇게 (청와대 등의) 말을 잘 들었던 편은 아니었다"라고 발언, 더욱 논란을 키우면서 안그래도 불편한 정부와 여당의 심기를 더욱 헤집는 결과를 낳았다.
이런 가운데 통계청장 경질 논란이 향후 통계청의 통계 지표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노조는 성명서에서 "소득분배 및 고용악화 통계가 발표돼 논란이 되는 시점에서 단행된 이번 청장 교체는 앞으로 발표될 통계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담보하기 어렵게 됐다"고 우려했다.
민주평화당도 29일 이정현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현재 기획재정부의 외청으로 있는 통계청의 독립을 논의하고 통계청장의 임기를 보장하는 한편 인사·재정권도 줘야한다"며 "그래야 통계청이 '정권 입맛에 맞는 통계'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