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원전사고시 재난관리 프로그램 '아톰케어' 실효성 논란

조현호 기자 2018. 9. 2. 10:18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자력안전연구소 “사고직후 실시간 교통상황 반영 주민대피 제시못해…” 원자력안전기술원 “주민대피는 지자체 몫”

[미디어오늘 조현호 기자]

국내에서 원자력발전소 비상사고 발생시 방사능 유출에 대비해 주민 대피 등을 지원할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아톰케어(AtomCARE:Computerized technical Advisory system for a Radiological Emergency, 방사능방재대책기술지원전산시스템)라는 일종의 컴퓨터 전산시스템이다. 아톰케어는 원자력시설 운영 현황, 전국 방사선 감시정보, 기상정보를 실시간 수집 분석해 원전 사고 때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비상대책 수립을 지원한다. 아톰케어는 원자력 재난시 방사능 농도와 피폭선량을 평가하는 시스템도 함께 운영중이다. 

관건은 원전 사고 때 얼마나 정확한 방사능재 유출과 확산 경로를 예측해 주민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피해를 최소화 하느냐다.

아톰케어를 운영하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킨스) 안팎에서 이 시스템의 실효성에 우려가 나온다. 한병섭 한국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28일 “사고 2시간 내에 주민이 피폭되지 않고 대피할 체계가 반영돼야 한다”며 “그러나 현 방재체계에선 사고 즉시 알려주지 않고 이를 판단해서 알려준다. 30분~1시간이 걸린다. 바람이 초속 3m로 불 때 30분이면 방사능재가 5km를 이동한다. 주민은 시간 내에 못 나가면 피폭된다”고 했다. 한 소장은 원전 사고 때 어디로 어떻게 피할지 알려주는 체계로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한 소장은 또 아톰케어엔 실시간 교통량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실제 교통량을 평가해 분산 대피시킬 기능이 없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는 지난 3월 ‘한빛원전 비상시 주민보호조치 연구’ 보고서에서도 이런 문제를 지적했다.

방사능방재 업무 경험이 있는 킨스(KINS)의 한 연구원도 아톰케어를 두고 “방사능 재난이 나면 대피해야 하는데, 실시간으로 도로가 막혀 이동을 못시킨다. 이를 해석할 프로그램이 제대로 안돼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시간에 따라 핵물질이 얼마나 전파되는지를 나타내는 ‘방사선원항’의 평가도 정확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심이 깨질 경우 예를 들어 세슘 100g이 나왔다고 했을 때 어느 지역까지 얼마나 갔는지를 계산하는 것인데, 실제보다 많게는 100배가 더 크게 나오거나 100분의 1배로 나온다”며 “어떻게든 예측을 해야 주민들이 적게 피폭될 곳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계산자체에 오차가 크다”고 말했다.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방사능재난관리전산시스템 아톰케어 이미지. 사진=KINS 블로그
국가 방사능방재훈련에도 이 시스템은 아직 적용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때도 일본의 스피디(SPEEDI)라는 유사한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주민대피에 전혀 활용되지 못했다.

킨스는 실효성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김홍석 킨즈 원자력비상대책실장은 27일 “기상청으로부터 6시간 마다 데이터를 받아 이를 토대로 대기확산을 평가할 모델링을 구축했고, 미국의 기상데이터도 구축해, 내년에 확산 실험으로 시스템을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실장은 “2년 전부터 방사능 확산영향평가 시스템을 ‘파다스(FADAS)’ 모델에서 기상정보를 수집 운용하는 ‘아다모(ADAMO)’ 모델로 바꿔 개발운용하면서 (실효성을) 우려하는 상황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신속 대피체계가 미비하다는 지적에 김 실장은 “기상데이터 예측 결과와 탐사차량이 예측 지역에 미리가서 추적하면 더 빨리 측정할 수 있다”고 답했다. 실시간 교통상황 연계에 김 실장은 “아톰케어에는 차가 막히면 우회하는 것까지는 돼 있지 않다. (방사능의 확산 경로를) 지자체에 주면 지자체가 주민 대피를 통제한다”며 “아톰 케어의 목적은 방사능 영향 평가를 하는 것이지, 주민 소개 역할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김 실장은 방사선원항의 불확실성에는 “어느나라도 선원항 평가를 통해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며 “다만 플랜을 짤 때는 필요한 예측일 뿐”이라고 말했다.

▲ 아톰케어의 방사능방재기상정보망과 방사선영향평가시스템. 사진=KINS 블로그


[미디어오늘 바로가기][미디어오늘 페이스북]
미디어오늘을 지지·격려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Copyrights ⓒ 미디어오늘.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