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미 '동의 없는 성관계 OUT' 비동의 강간죄 발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명백한 거부의사 표시에 반한 강간죄'를 신설하는 내용의 형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이 대표는 3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그동안 법원은 강간죄 성립과 관련해 '최협의의 폭행·협박'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해 왔고 그로 인해 가해자의 폭행·협박에 공포감을 느껴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못하거나 수치심에 구조를 요청하지 않은 경우 등에 대해 강간죄 성립이 부정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명백한 거부의사 표시에 반한 강간죄'를 신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명백한 거부의사 표시에 반한 강간죄’를 신설하는 내용의 형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이 대표는 3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그동안 법원은 강간죄 성립과 관련해 ‘최협의의 폭행·협박’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해 왔고 그로 인해 가해자의 폭행·협박에 공포감을 느껴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못하거나 수치심에 구조를 요청하지 않은 경우 등에 대해 강간죄 성립이 부정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명백한 거부의사 표시에 반한 강간죄’를 신설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행 형법은 폭행·협박을 수단으로 하는 간음과 위계·위력을 수단으로 하는 간음 두 가지 경우에 처벌한다. 그러나 폭행·협박이 ‘피해자의 항거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하게 곤란할 정도’가 돼야하는 수준으로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고, 위계·위력도 ‘항거를 곤란하게 할 정도’의 행사가 있어야 한다는 게 기존 판례다. 강간죄 범위를 최대한 좁게 해석한다는 뜻에서 이를 ‘최협의설’이라고 한다. 올해 상반기 ‘미투 운동’ 국면에서 형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문제 제기가 잇따랐고, 최근 안희정 전 충남지사 1심에서도 “위력행사가 없었다”며 무죄 판결을 해 큰 논란이 빚어진 바 있다.
이 대표는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강간죄 성립 구성 요건을 폭행·협박 정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해 처벌하도록 했다. 1단계는 ‘명백한 거부의사 표시에 반한 강간죄’로 1년 이상 유기징역, 2단계는 ‘협의의 폭행·협박으로 성립하는 강간죄’는 2년 이상의 유기징역, 3단계는 ‘최협의의 폭행·협박으로 성립하는 강간죄’로 4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는 방식이다.
이 대표는 또 “현행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간음죄(형법 303조)는 5년 이하의 징역형으로 규정돼 있는데 이는 강제추행죄(형법 298조)의 10년 이하의 징역형과 비교할 때 형량이 비합리적으로 낮게 규정되어 있다”며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간음죄의 형량을 15년 이하의 유기징역으로 상향조정해 법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글·사진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오늘의 추천 뉴스]
[▶ 블록체인 미디어 : 코인데스크][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김이택 칼럼] 청와대의 '이상기류'
- '2천만 유물' 브라질 국립박물관 큰불.."200년 지식 사라져"
- 손흥민은 면제되고 BTS는 안되는 '병역특례' 이번에 손보나
- 음란채팅 협박·조건만남 사기..55억 뜯긴 남성들
- [영상] 5일전 수술 김복동 할머니 "너무 속상해 나왔다"
- [포토] 랭면 많이 먹어! 살쪄서 가을에 또 만나~
- 그 좋다는 '고객중심' 요금제, 이통사들 왜 문자홍보 안할까
- '역대급 폭염' 1994년 여름, 24년 장기집권 마감했다
- [북한 트렌드] "백두산 고유한 맛을 보존한" 이 단물
- [50년대 희귀 컬러사진] 그 가을의 추수 '천지 볏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