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토 2233만㎥ "30년 후 전국에 분산 매립될 수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 7년이 지난 지금 방사능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토양의 처리문제가 난항을 겪고 있다.
13일 마이니치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 환경부는 후쿠시마현에서 발생한 '제염토(방사능 오염토)'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나자 사고지 인근 도시에 임시 보관해 왔다.
방사능 오염토는 사고 발생지인 후쿠시마현에 약 2200만㎥, 인근 7개 현에 약 33만㎥가 보관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 후 쌓여만 가는 오염토 처리를 위해 매립을 검토하며 각 지자체의 동의를 구하고 나섰다.
방사능 오염토는 사고 발생지인 후쿠시마현에 약 2200만㎥, 인근 7개 현에 약 33만㎥가 보관되고 있다.
이 오염토는 일본 정부의 ‘방사성 물질 오염 대처 특별조치법(이하 특별조치법)‘에 따라 해당 지자체가 처분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토 매립을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일본 환경부는 53개 ‘시정촌(한국 시도읍에 해당)‘에 공문을 보내 방사능 오염토 매립에 관한 의견을 청취, 16%인 10개 지자체에서 매립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별조치법에 따르면 오염토는 오는 2050년까지 후쿠시마현 외부로 반출하여 최종 처분해야 한다.
이에 일본 정부는 오염토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방사선량이 낮게 측정된 오염토를 재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오염토를 건축용지나 꽃밭 조성 등 시민들이 사용하는 공간에 사용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방사선 피폭과 농업, 관광산업에 피해를 우려한 주민 반대로 결국 무산됐다.
오염토 재활용을 계획한 환경부 관계자는 “주민 반대로 무산됐지만 방사능 오염토 재사용 계획은 포기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방사능 오염토는 30년 후 처분해야 한다”며 “오염토 재사용 계획은 생명이 긴 대처 (장기간 계속되는 방안)임을 이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사진= 마이니치신문 캡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통한 소식통에 들었다”던 박지원…이재명 파기환송에 “예상외 판결”
- "(뉴진스)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 레전드 프로듀서의 일침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이것들 봐라? 한 달만 기다려라” 민주당 ‘보복’ 예고?…하루도 안 넘기고 심우정 총장 탄핵
- '도난 피해' 박나래, 결국 눈물 쏟았다…김지연 "한결같이 잘해준 유일한 분"
- 백종원 “이제 다 바꾸겠습니다”…50억 쏟아부은 이유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