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나도 "통영처럼"..전국 산·바다 케이블카 '진저리'

2018. 9. 28. 18: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의 산과 바다가 케이블카로 몸살을 앓고 있다.

경남 통영 등 일부 지역의 케이블카 사업이 돈과 사람을 끌어모으는 데 성공하자, 환경·경제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 없이 너도나도 사업에 뛰어드는 양상이다.

박수홍 설악산 국립공원지키기 국민행동 상황실 간사는 "자치단체 등이 경제 활성화를 이유로 케이블카사업에 뛰어들지만 실제 경남 통영 등 2~3곳 정도만 수익을 내고 있다. 허상을 좇기보다 자연환경을 잘 지키는 게 미래를 위해 훨씬 더 경제적"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악산 케이블카 '박근혜 적폐' 논란에도 또..
마이산·속리산·영남알프스 등서도 추진
지자체가 더 적극적..이미 전국 50곳 달해
'흥행 성공' 통영도 과열경쟁 탓 이용객 '뚝'

[한겨레]

전국의 산과 바다가 케이블카로 몸살을 앓고 있다. 경남 통영 등 일부 지역의 케이블카 사업이 돈과 사람을 끌어모으는 데 성공하자, 환경·경제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 없이 너도나도 사업에 뛰어드는 양상이다. 최근엔 민간 사업자보다 지방자치단체가 더 적극적이다. 재선을 위해 업적 쌓기에 매달리는 단체장들의 욕심이 더해진 탓이다.

다시 살아난 설악산 케이블카 지난 5일 서울행정법원에서는 산양 28마리가 원고가 된 재판이 열렸다. 문화재청이 지난해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통해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오색약수~끝청 3.5㎞)의 길을 터주자, 동물권리연구 변호사 단체가 멸종위기종 산양을 내세워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 취소소송’을 낸 것이다. 지난 3월 환경부 환경정책제도개선위원회가 “2015년 박근혜 정부가 이 사업의 국립공원위원회 통과를 지원하기 위해 환경부에 비밀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는 등 부정한 방법으로 사업을 강행했다”며 전면 재검토를 주문했지만, 사업을 추진하는 쪽은 요지부동이다. 양양군과 강원도는 내년 상반기까지 환경영향평가 보완 등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하반기에 착공해 2021년께 오색케이블카 운행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전북 진안군은 지난 4월 새만금환경청의 ‘부동의’ 결정에도 마이산 케이블카(북부 사양제~남부 도장골 1.59㎞)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생태계 훼손 등의 이유로 ‘부동의’ 결정을 내린 영남알프스 행복 케이블카도 다시 고개를 들었다. 송철호 울산시장이 지난달 “1000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된 영남알프스 산악관광사업의 시너지 효과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케이블카가 필요하다”는 시정소통회의 의견을 받아들이면서부터다. 충북 보은군도 한 번 접었던 속리산 케이블카 사업 카드를 다시 만지작거리고 있다. 오는 12월까지 케이블카 설치를 위한 용역을 진행할 참이다.

케이블카 교본 통영·여수 지자체들의 케이블카 사업 열기에 불을 붙인 곳은 경남 통영과 전남 여수다. 통영 케이블카는 지난해에만 140만7000여명이 이용해 125억여원의 수익을 냈다. 2008년 개장 이후 최대 실적이다. 통영시는 지난해 통영관광개발공사로부터 이익 배당금 34억8000만원을 받는 등 2009년 이후 누적 배당금이 224억 2000만원에 이른다. 여수의 해상 케이블카 역시 지난해 탑승객이 220만명을 넘어서는 등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전국 곳곳에 난립한 케이블카는 사업 수익성을 떨어뜨려 지자체들의 부담만 가중시키는 애물단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케이블카 사업의 ‘교본’이었던 통영 케이블카도 최근 위기를 맞고 있다. 이웃한 경남 사천에 지난 4월 해상 케이블카가 설치·운영되면서 하루 평균 4584명이던 통영 케이블카 이용객은 4000명 선으로 뒷걸음질한 것이다. 여수 케이블카 역시 마찬가지다. 목포시가 내년 4월 498억원을 들인 목포 해상케이블카(유달산~고하도 3.23km)를 개통하고, 해남군이 320억원을 들여 추진 중인 우수영~진도타워(1.12㎞) 케이블카가 2020년께 개통되면 이용객 감소는 불가피하다. 최근엔 담양군까지 나서 4.2㎞ 길이의 담양호·추월산 케이블카를 추진하고 있다.

박수홍 설악산 국립공원지키기 국민행동 상황실 간사는 “자치단체 등이 경제 활성화를 이유로 케이블카사업에 뛰어들지만 실제 경남 통영 등 2~3곳 정도만 수익을 내고 있다. 허상을 좇기보다 자연환경을 잘 지키는 게 미래를 위해 훨씬 더 경제적”이라고 말했다.

전국종합/신동명·안관옥·박임근·최상원·박수혁·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오늘의 추천 뉴스]
[▶ 블록체인 미디어 : 코인데스크][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