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의 자기부정, "통일비용 공포 벗어나자"더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북한 철도, 도로 현대화 사업에 최소 43조원이 들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통일연구원이 2030년 통일이 된다는 가정 하에 통일 전후 20여년의 통일비용을 산출해 봤더니 3621조원 규모라는 것이고, 이 가운데 2790조(77%)는 민간의 대북 투자비라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제와서 北철도·도로 현대화 사업도 '예산먹는 하마' 주장
조선일보의 1일자 "北철도·도로 현대화 사업비 최소 43조원" 기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정양석 의원의 내부 자료에 근거했다.
철도 현대화에 38조 1164억원, 도로 현대화에 5조 5397억원 등 총 43조 6561원이 들어가는데, 이는 정부가 제시한 1년치 예산의 약 150배라는 것이다.
보도는 "문제는 북한 철도·도로 현대화 비용이 43조원보다 훨씬 커질 수도 있다"고 지적해, 앞으로도 천문학적인 예산이 소요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
하지만 이날 보도는 5년 전 조선일보 보도와 180도 다르다.
통일연구원이 2030년 통일이 된다는 가정 하에 통일 전후 20여년의 통일비용을 산출해 봤더니 3621조원 규모라는 것이고, 이 가운데 2790조(77%)는 민간의 대북 투자비라는 것이다.
결국 전체의 23%(831조원)만이 정부가 재정으로 부담한다는 설명이다.
뿐만 아니라 통일연구원은 통일에 지출되는 비용 대비 편익이 2배 가까이 클 것으로도 예상했다고 했다.
20년간 약 3400조원이 통일비용으로 지출되지만, 국내총생산(GDP) 증가 등의 편익은 6400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조선일보는 여기에 "통일 비용은 모두 세금이라는 생각은 잘못"이라는 전문가 멘트를 덧붙여 "통일 비용의 공포를 벗어나자"고 강조하기까지 했다.
그렇다면 당시 통일연구원의 추산은 지금도 유효한 것일까?
통일연구원 조한범 선임연구위원은 CBS노컷뉴스에 "당시 추정한 통일비용, 편익이 지금도 같을 것이라고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통일 비용과 편익에 매번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매우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그에 따르면 △통일 시점, △통일 비용 지출 기간 △비용으로 지출할 요소(어떤 방식으로 지원할지) 등을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따라 추산 비용에도 차이가 생긴다.
때문에 앞서 조선일보도 예상 통일비용이 최소 831조원에서 최대 4746조원으로 큰 편차를 보인다고 보도했다.
다만 조 연구위원은 "비용보다 편익이 클 것이라는 사실 자체는 확실하다"며 "통일에 지출해야 할 비용은 언젠가 끝나지만, 통일로 얻을 수 있는 정치, 사회, 경제적 편익은 영원히 간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권희은 기자] cathyheun@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어르신 노동시장', 최저임금·근로기준법 없다
- 노벨 생리의학상, 제임스 앨리슨·혼조 다스쿠 공동수상(종합)
- 사무장 병원, 건강보험 5614억 부당이득..내부고발 필요해
- 李총리 '北방송 개방' 신중론에 하태경 "굉장히 보수적"(종합)
- 유시민, 노무현 재단 신임 이사장에 선임
- 한반도 잇단 훈풍에..한국당, '국회 남북 회담' 참여하나
- 화웨이의 '화끈한 유혹'..前삼성맨 황창규 KT에 통할까?
- 10.4선언 남북 공동행사에 여야 20명 방북
- 인니 강진·쓰나미 '한 마을 2천명 사망'설..피해규모 눈덩이 (종합)
- 평양에 태극기 없었나..김정은 오면 인공기 흔들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