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성매매 논란] 섹스로봇의 성매매, 합법vs불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섹스로봇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섹스로봇을 통한 성매매 업소를 두고 갑론을박이 펼쳐진 지역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실비아 터너 휴스턴 시장은 지역 언론 휴스턴 크로니클과의 인터뷰에서 "섹스로봇 성매매 업소는 휴스턴 시가 바라는 사업이 아니며, 법령을 통해 해당 업소를 규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희윤 기자] 섹스로봇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섹스로봇을 통한 성매매 업소를 두고 갑론을박이 펼쳐진 지역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시의회는 만장일치로 섹스로봇 성매매 업소 개장을 금지하는 조례 개정안을 통과시켰다고 미국 일간 USA TODAY가 보도했다.
앞서 캐나다 기업 킨키스돌스(KinkySdollS)는 휴스턴에 섹스로봇 성매매 업소 개점을 준비하고 있던 상황. 해당 업소는 30분 당 60달러를 결제하면 고객이 섹스 로봇을 이용하는 서비스로 운영될 예정이었으며, 지난해 토론토에 문을 연 1호점은 성공적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업소 개업 소식을 접한 휴스턴 시민들은 반대 협의회를 조직, 지역 주민 1만 명으로부터 탄원서를 받아 시 당국에 제출한 바 있다.
협의회 소속 베가(Vega) 목사는 반대 집회 연설에서 “섹스로봇 사업으로 인해 가정, 가족, 이웃과 국가 재정이 파괴되고, 공동체에 큰 소요가 발생할 것이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실비아 터너 휴스턴 시장은 지역 언론 휴스턴 크로니클과의 인터뷰에서 “섹스로봇 성매매 업소는 휴스턴 시가 바라는 사업이 아니며, 법령을 통해 해당 업소를 규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례 개정을 통해 업소개업이 무산되자 업체 대표인 유발 가브리엘은 “섹스로봇 업소는 성매매와 인신매매 근절에 기여할 것”이며 “돈을 주고 다른 사람의 몸을 사는 것은 역겨운 일인데 성매수자들에게 다른 선택을 제공하면 되지 않겠냐”고 항변했다.
이어 그는 “지역 주민의 반발은 이미 예상했다”며 “섹스로봇 성매매 업소가 성매매와 인신매매를 부추길 것이라는 주민들의 반대 입장에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휴스턴 개업이 어렵다면 다른 지역을 찾아볼 것이다”고 밝혔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80만원' 받고…초등생 딸과 목욕·음란행위 허락한 엄마 실형 - 아시아경제
- "차라리 퇴직하고 다시 시험 칠게요"…불만 폭발한 고용부 9급, 왜? - 아시아경제
- 러시아보다 더 두렵다…3조 들여 만든 '특수부대'의 진짜 표적은? - 아시아경제
- "한국인들 가난해 고기·수박 못 먹는다" 루머 꼬집던 中 인플루언서 사라졌다 - 아시아경제
- "이걸 다이소에서 왜 사냐" 무시했는데…소비자 눈길 끌고 '대박'났다 - 아시아경제
- 실신한 67세 여성, 깨어나서 "나 41세야"…'이것' 때문이었다 - 아시아경제
- 매달 9만원만 넣으면 평생 연금 2배?…돈 없는 학생들, 고민 깊어졌다 - 아시아경제
- "추석 연휴 길어서 더 무서워요"…71만원 지출 앞에 지갑은 '비명' - 아시아경제
- "취객? 아닌거 같은데"…쓰러진 여성에 '촉' 발동한 간호학과 대학생 - 아시아경제
- "공노비 사실이냐"…축제 '일대일 의전'에 공무원들 난리나더니 결국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