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르는 수주 낭보..韓 조선업 볕드나

김미경 입력 2018. 10. 10. 05:00 수정 2018. 10. 10. 10: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깊은 부진에 시달렸던 한국 조선업계에 모처럼 훈풍이 불고 있다.

올 들어 국내 조선사 빅3의 수주 낭보가 잇따르고 있고, 수년째 일감 '0(제로)'였던 초대형 해양플랜트 수주전에서도 선전하고 있어 재기의 청신호가 켜졌다.

2014년 11월 아랍에미리트(UAE) 나스르 해양플랜트 계약을 따낸 이후 47개월 만으로 이번 수주가 중요한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따돌리고 글로벌 선박 수주 1위
대우조선, 해양플랜트 부활 조짐
현대重 수주 5년 만에 최대 기록
조선3사, 현대상선 본계약 '청신호'
[이데일리 이서윤]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깊은 부진에 시달렸던 한국 조선업계에 모처럼 훈풍이 불고 있다. 올 들어 국내 조선사 빅3의 수주 낭보가 잇따르고 있고, 수년째 일감 ‘0(제로)’였던 초대형 해양플랜트 수주전에서도 선전하고 있어 재기의 청신호가 켜졌다.

글로벌 선박 발주량이 회복세를 보이는 것도 호재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80달러 선까지 오르면서 원유와 가스 등을 시추·생산하는 해양플랜트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의 발주가 잇따르고 있어 조선업 경기가 회복 국면에 접어든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9일 관련업계 및 외신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미국 석유개발업체 엘로그가 발주한 5억달러(한화 약 5600억원) 규모의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 수주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은 멕시코만 일대에서 원유개발사업인 킹스랜딩 프로젝트를 따내기 위해 막판 협상중이다. 2014년 11월 아랍에미리트(UAE) 나스르 해양플랜트 계약을 따낸 이후 47개월 만으로 이번 수주가 중요한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대우조선해양도 미국 석유업체인 셰브론이 발주한 20억달러(약 2조2000억원) 규모의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SO) 로즈뱅크 사업을 두고 싱가포르 업체와 막판 경쟁 중이다. 다만 최근 셰브론이 해당 프로젝트의 지분 40%를 노르웨이 국영석유회사 에퀴노르에 넘기기로 합의하면서 장기전이 예상된다.

최근 현대상선이 발주한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 건조도 한국 조선사에 힘을 싣는다. 총 계약 규모는 3조1532억원 수준으로 현대중공업 1만4000TEU(1 TEU는 길이가 20피트(6.096m)인 컨테이너 1대)급 8척, 삼성중공업 2만3000TEU급 5척, 대우조선해양 2만3000TEU급 7척 등으로 나눠 본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힘입어 현대중공업의 올해 선박 수주 실적은 2013년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104억달러어치(129척)의 선박을 수주했으며 올해 수주 목표 132억달러의 79%를 달성했다.

업황도 나쁘지 않다.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2000년 이후 한국을 제치고 급격히 성장해 온 중국 조선업계의 움직임이 주춤해서다. 조선업 전체로 보면 한국 조선사들이 지난 8월 글로벌 선박 시장에서 2위인 중국을 따돌리고 수주 1위를 차지했다.

글로벌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올 들어 전 세계 선박 발주량 1781만 CGT(표준화물 환산 톤수)의 43%인 756만 CGT를 수주했다. 2위인 중국(570만 CGT·32%)을 멀찌감치 따돌린 1위다. 월별 수주 물량에서도 5월 이후 4개월째 선두를 지키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 지원과 값싼 인건비를 바탕으로 수주를 싹쓸이했던 중국의 관(官) 주도형 조선업이 기술과 품질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며 “해외 선주들은 ‘믿을 수 있는’ 한국으로 다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한국은 2011년 이후 7년 만에 연간 수주량에서 중국을 앞서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조선업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은 연간 9만5000위안(약 1540만 원) 정도로 한국의 약 4분의 1 수준이지만 10년 전보다 임금이 2배 더 올라 가격 경쟁력이 무뎌지고 있다”면서 “최근 중국에 드리워진 위기가 국내 조선업계에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최근 수주 상황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다른 관계자는 “현재 수주 환경이 정상적인 이익을 낼 수 있을 만큼 회복된 상황은 아니다. 경쟁국과 기술 격차를 벌리는 동시에 노동 생산성을 올리는 작업을 계속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미경 (midory@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