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확 바뀐 모바일 네이버..'휑하다 vs 깔끔하다' 엇갈리는 평가
입력 2018. 10. 11. 13:56 수정 2018. 10. 11. 15:02기사 도구 모음
네이버가 모바일 첫 화면을 검색창 위주로 바꾸고 뉴스와 실시간급상승검색어(실급검)를 빼는 등 대폭 개편을 단행한 것에 대해 여러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정동훈 광운대 교수는 이번 모바일 화면 개편에 대해 "네이버가 인공지능(AI) 기술 중심의 사업 모델 전환을 염두에 두고 결단을 내린 것"이라며 "뉴스 편집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도 바람직한 선택을 했다"고 평가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네이버가 모바일 첫 화면을 검색창 위주로 바꾸고 뉴스와 실시간급상승검색어(실급검)를 빼는 등 대폭 개편을 단행한 것에 대해 여러 평가가 나오고 있다.
2009년 모바일 네이버가 처음 나온 이후 가장 파격적인 변화다 보니 그동안 네이버를 써온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는 것은 네이버 내부에서도 인정하고 있다.
김광현 서치앤클로바 리더는 11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데뷰 2018' 행사 중 기자들과 만나 "저도 (개편 화면을) 처음 보고 깜짝 놀랐다"며 "뉴스를 첫 화면에서 빼면 젊은층보다는 30~50대에게 굉장히 불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 모바일 개편 관련 뉴스에 댓글을 단 사용자 'phh7****'는 "검색창만 달랑 뜰 거면 구글 쓰지 뭐하러 네이버를 쓰나"라고 지적했다.
논란이 많았던 뉴스 배열을 사람 손이 아닌 100% 알고리듬에 맡겨 완전히 개인화하겠다는 계획에도 거부감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김성수 의원이 녹색소비자연대와 함께 지난달 21일부터 일주일간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개인 선호에 따른 맞춤형 뉴스 제공'을 선호한 응답은 17.7%에 그쳤고, 59.6%는 '모두에게 동일한 뉴스 제공'을 선택했다.
그러나 당장 사용자들의 원성을 살 수는 있겠지만, 네이버가 미래를 내다보고 필요한 결단을 내렸다는 평가도 있다.
정동훈 광운대 교수는 이번 모바일 화면 개편에 대해 "네이버가 인공지능(AI) 기술 중심의 사업 모델 전환을 염두에 두고 결단을 내린 것"이라며 "뉴스 편집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도 바람직한 선택을 했다"고 평가했다.
네이버 아이디 'cook****'는 "요즘 포털화면 들어가면 그 회사가 나열한 닫힌 정보 속에서 허우적거리면서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차라리 그런 시간을 자기가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검색하는 데 쏟는다면 개인적으로도 더 유익할 것"이라고 변화에 찬성했다.
하이투자증권 김민정 애널리스트는 "단기적으로 사용자환경(UI) 변화에 익숙해져야 하는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이용자의 만족도를 더 높일 수 있다"며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라고 진단했다.
김광현 리더는 "평소 뉴스 소비를 많이 하지 않는 소비자에게는 '깨끗하고 좋다'는 반응도 있다"며 "트래픽 유발보다는 신뢰받는 서비스가 더 중요하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전했다.
ljungber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코인에 매수된 장교, 北수뇌부 제거부대 작전계획도 넘겨"
- 학생 보호하려다 숨진 영웅 교사…경찰 신고하려다 희생된 소녀
- 윤미향 "한일합의 최종안 몰랐다…외교부, 굴욕적조항 설명안해"
- 문재인 전 대통령 양산 매곡동 집 산 사람은 기업인 홍성열
- '한국의 이소룡' 액션배우 신일룡 별세
- 바이든, 백악관서 BTS 만난다…"反아시안 증오범죄 퇴치 논의"
- '최고 5천484살 추정' 칠레 나무, 세계 최고령 가능성
- '경관의 피'·'스토브 리그' 배우 이얼, 암투병 끝 별세
- '전자발찌 살인' 강윤성 무기징역 선고…"사회에서 영구 격리"
- '성폭행' 강지환, 드라마 제작사에 53억 배상 판결…2심도 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