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츠IT] 중국산 통신장비, '얻는 것과 잃는 것'

박흥순 기자 2018. 10. 14.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뉴스1(로이터통신)
지난 4일 한 외신이 제기한 의혹에 전세계 IT업계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는 중국이 애플과 아마존 등 미국기업들에 납품되는 전산서버에서 초소형 스파이칩을 발견했으며 이는 중국정부와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다.

블룸버그는 중국 첩보기관이 슈퍼마이크로 서버용 메인보드에 몰래 스파이칩을 삽입, 애플과 아마존을 비롯한 30여개 미국기업의 인프라와 미국·영국의 정부네트워크에 침입했다고 전했다.

애플과 아마존은 이에 대해 즉각 성명을 내고 반박했다. 애플은 자신들의 홈페이지에 “해당 내용을 보도한 기자에게 수차례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한 바 있다”며 “애플은 서버를 구축하고 실제 가동하기 이전에 철저한 검사를 진행하는데 어떤 스파이칩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영국정부와 미국정부도 애플의 주장에 힘을 보탰다. 미국 국토안보부(DHS)는 홈페이지에 “애플의 주장을 의심할 근거가 없다”며 “영국정부와 마찬가지로 우리도 스파이칩이 탑재돼있지 않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통사, 5G 장비 선정 두고 막판 저울질

국내에서도 중국산 전자장비의 보안과 관련한 내용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중국 화웨이의 5G 장비는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한다. 업계에서는 이미 삼성전자의 기술력보다 1분기 이상 앞선 것으로 추정한다. 심지어 가격도 30%이상 저렴하다.

하지만 미국과 호주 등 세계 각국에서 화웨이의 5G 장비에 대해 보안성을 믿을 수 없다며 장비입찰 참여 금지조치를 취하자 국내에서도 입찰을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양상이다.

지난달 가장 먼저 5G 통신장비 입찰업체를 선정한 SK텔레콤은 삼성전자와 노키아, 에릭슨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하면서 화웨이 논란에서 발을 뺐다.

SK텔레콤 측은 “세계적으로 치열하게 전개되는 5G 주도권 경쟁 상황에서 장비공급 3사가 관련 기술을 선도하고 생태계 활성화에 필요한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다”며 “투자비용 등 재무적인 요소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KT와 LG유플러스는 아직 5G 장비 공급업체를 지정하지 않았다.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이미 LTE 장비 선정 과정에서 화웨이의 장비를 도입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화웨이와 손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반면 KT는 부정적인 여론과 최근 제기된 중국산 통신장비 스파이칩을 의식해 배제할 가능성이 크다.

황창규 KT 회장은 “KT의 5G 목적과 보안, 규격과 잘 맞는 업체를 선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드워드 스노든 전 미국 국가안보국(NSA) 요원이 폭로한 기밀 문건에 따르면 미국의 스텔스 전투기 F35의 레이더와 엔진 설계도, 배기 냉각 방법 등 설계 기밀 정보가 중국 해커에 의해 유출됐던 정황이 밝혀졌다. /사진=뉴스1(로이터통신)
◆전문가 “보안이슈는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전세계적으로 중국 통신장비에 대한 보안논란이 동시다발적으로 제기되자 화웨이가 진화에 나섰다. 화웨이는 “전세계 주요이동통신사, 포춘 500대 기업 및 170여개 이상 국가의 고객과 소비자가 이미 우리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며 “화웨이는 철저한 사이버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문제가 된 사안은 한건도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국의 사이버 해킹 능력이 세계에서 최정상 수준이라는 점을 내세우며 이미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이버 스파이 활동을 진행 중이라고 주장한다.

2014년 에드워드 스노든 전 미국 국가안보국(NSA) 요원이 폭로한 기밀 문건에 따르면 미국의 스텔스 전투기 F35의 레이더와 엔진 설계도, 배기 냉각 방법 등 설계 기밀 정보가 중국 해커에 의해 유출됐던 정황이 밝혀졌다.

또 올해 초에는 아프리카연합(AU)의 비밀자료가 중국 상하이에 있는 서버에서 발견되면서 중국이 5년간 AU를 상습적으로 해킹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AU 본부는 중국이 2억달러를 투자해 세운 것으로 통신 인프라를 화웨이와 ZTE가 담당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됐다.

중국발 사이버 보안 논란이 진실공방 양상으로 치달으면서 전문가들도 사태를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소프트웨어(SW) 보안업계 한 관계자는 “양측의 주장 모두 현실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며 “다만 구체적인 물증은 양측 모두 제시하고 있지 않아 섣부른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보안관련 이슈는 보수적이고 안전하게 접근하는 것이 옳다는 게 공통된 입장”이라고 말했다.
[머니S 주요뉴스]
"외모서열 꼴찌"… 한지민, 언니·엄마 얼마나 예쁘길래?
"의사 마음대로 재수술"… 도끼, 역대급 분노 폭발
김혜은 "변요한 보면 눈물나"… 이유는?
판빙빙, 또 루머… 이번엔 왕치산과 성관계 영상이?
서동주 '썸남' 찰리 치버, 주커버그급 억만장자?

박흥순 기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