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도둑·계약위반' 5년간 샌 전기료 1100억원 넘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단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도둑(도전·盜電)과 계약조건을 위반해 전기를 쓴 행위(위약)로 지난 5년간 새어나간 전기요금이 1167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1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전력(015760)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도전 및 전기위약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 9월까지 3만2599건, 1167억원의 전기료가 샌 것으로 분석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단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도둑(도전·盜電)과 계약조건을 위반해 전기를 쓴 행위(위약)로 지난 5년간 새어나간 전기요금이 1167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1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전력(015760)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도전 및 전기위약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 9월까지 3만2599건, 1167억원의 전기료가 샌 것으로 분석됐다.
값싼 농사용 등으로 신청하고 실제로는 주택용으로 몰래 사용하는 경우 등을 뜻하는 '계약종별 위반'은 2만3829건(644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율인 전체의 73.1%를 차지했다. 도전은 무단으로 사용하는 전기로 4018건(71억5000만원)으로 전체의 12.3%로 조사됐다. 이 외 사용기간·시간 위반(7.1%), 무단증설(6.4%) 등이 뒤를 이었다.
박범계 의원은 "한전은 유가 인상, 탈원전, 적자 등의 이유로 전기요금 인상을 이야기 하기 전에 줄줄 새는 전기요금부터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며 "또 한전은 '지능형 검침 인프라' 사업을 핑계로 검침원 숫자를 줄이지 말고 검침원을 활용해 줄줄 새는 전기요금 단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전자·SK하이닉스, HBM ‘하이브리드 본딩’ 도입 초읽기… 반도체 장비 공급망 지각변동 예
- 업계는 위기인데 불황 모르는 두산건설…10년 來 최대실적에 신용등급까지 올랐다
- [금융포커스] 9% 고금리에 엄마들 뒤흔든 새마을금고 꿈나무적금
- [명의를 찾아서] 난소암, 사망선고 아니다…표적치료 늘면서 생존율 70%
- 과천으로 몰려가는 IT 기업들… 넷마블·펄어비스·아이티센, ‘제2 판교’ 만드나
- 현대차, 보스턴다이내믹스 잔여지분 인수할까… 정의선 승계 영향은
- [단독] 바디프랜드 오너家 강웅철 이사, 9개월간 법카로 유흥업소서 1억 사용…주인 같은 식당선
- 韓·美 조선 협력 본격화… 한화·HD현대, 美 조선소 확보 속도
- 아이스하키 스타 창업 60년 브랜드, 스타벅스도 고개 숙여
- [격변의 방산]⑤ ‘수출 4강’ 노리는 韓… 해양으로 영역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