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lobal Focus >이란 청년들 "아버지, 왜 '혁명'을 해서 우릴 힘들게 합니까"

정철순 기자 입력 2018. 11. 9. 14:10 수정 2018. 11. 9. 14: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 침체 속에 하산 로하니 이란 행정부가 국방예산을 대폭 늘린 예산안을 발표하자 이란 대학생과 도시 빈민들이 테헤란에서 반정부 시위를 벌이고 있다. AP 연합뉴스

美제재복원후 반정부시위 격화

神政일치 구축뒤 경제위기 계속

실제 실업률 20%…민생 피폐

일자리 없는 빈민층 폭력시위

중산층‘反정부’가담할지 촉각

이란정부 ‘反서방연대’ 내세워

헤즈볼라·하마스 등 무기 제공

테러범 유가족 생계까지 지원

“지원중단·해외병력철수”구호도

미국은 지난 5일 이란핵협정(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으로 유예했던 대이란 제재를 모두 복원하면서 이란과의 새로운 협정 체결을 위한 핵심 요구사항으로 시리아 내전 병력 철수와 해외무장단체 지원 중단을 내걸었다.

신정일치 종교국가인 이란의 행정부와 군부, 종교 최고지도자는 미국의 요구를 일축했지만, 전과 달리 일반 이란인들 사이에서는 해외 무장단체에 대한 불필요한 지원이 경제위기로 이어진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이슬람 시아파의 맹주를 자처하며 중동지역 전체 현안에 개입하려는 이란 지도부에 맞서 2015년 이후 제재 유예의 단맛을 봤던 이란 국민의 반발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 해외무장단체·폭탄 테러범 유족까지 챙기는 이란 = 9일 외신 및 중동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란은 현재 9년째 내전이 이어지고 있는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비롯해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예멘 후티 반군 등 중동 내 시아파 무장단체들에 대한 광범위한 지원을 펼치고 있다.

이란이 적잖은 경제적 부담 속에서도 해외 무장단체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은 이란의 실질적 최고 권력자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를 비롯한 종교계가 표방하는 반서방 연대를 통해 이슬람 가치를 널리 전파한다는 원칙이 배경으로 작용한다. 이란 정치 특성상 국민이 투표로 선출하는 대통령보다 최고지도자 권한이 더 막강하다. 특히 국방 및 정보 분야 등에서 하메네이 최고지도자가 핵심 정책을 결정하고 정부는 이들에 대한 지원 예산을 승인하는 수준이다.

중동지역 현지 언론에 따르면 실제 이란의 중동 내 무장단체 지원은 전방위적으로 이뤄진다. 이스라엘 투데이는 최근 이란 정부가 헤즈볼라에 미사일의 정확성을 높이는 위성항법장치(GPS) 기술을 전수했으며 하마스와 후티 반군 등을 상대로 꾸준히 무기성능 개량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란은 헤즈볼라와 하마스의 폭탄 테러범 유가족들에게 매달 3000달러(약 330만 원)를 지원하고 있고 단순 반이스라엘 시위 가담자에게도 매달 100달러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란 종교계가 일방적으로 해외무장단체 지원 등의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이란 내부에서도 반발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 하산 로하니 대통령이 예산 공개과정에서 이례적으로 성직자 예산과 해외지원 예산을 밝혔는데 각각 전체 정부 예산의 20%와 10%대에 달했다. 성직자들이 정부로부터 막대한 지원금을 받는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 일반 국민이 갖고 있던 종교지도자에 대한 존경도 약화됐다.

◇ 종교계 겨냥하며 저항수위 높이는 이란 대학생들 = 이란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미국의 대이란 경제 제재로 불경기의 직격탄을 맞은 젊은 층에서는 “아버지, 왜 혁명을 하셔서 저희를 이렇게 힘들게 만들었습니까”라는 말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이란은 1979년 친미 팔레비 왕정을 무너트리고 신정일치 체제를 구축했지만, 장기화한 경제 제재로 시민들의 삶은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진 상태다. 이란 정부는 자국 내 실업률을 12%대로 발표하지만, 워싱턴포스트(WP) 등 해외 언론에 따르면 이란의 실제 실업률은 20%에 달한다.

이란 내 최대 반정부세력으로는 농촌에서 상경한 도시 빈민들이 꼽힌다. 이들은 최근 몇 년간 이어진 가뭄을 피해 도시로 급격히 유입됐지만 경제 제재로 인해 마땅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이란 정부와 종교계가 긴장하는 이유는 경제난에 시달리는 도시 빈민층의 시위가 전과 달리 폭력성이 짙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이들의 시위에서는 ‘해외 병력 철수’ 등 최고지도자 정책에 정면으로 반하는 구호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전통적으로 도시 빈민층의 지지를 받아온 종교계와 보수 정치권은 비판의 화살이 본인들에게 날아오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수도 테헤란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시위에 아직 중산층이 가담하지 않아 본격적인 반정부 시위로까지 확산하지는 않고 있다. 이란은 정치권, 종교계에 대한 비판이 가능할 만큼 중동 국가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언론 자유가 보장된 편인데 중산층들은 경제난을 호소하는 도시 빈민들의 시위에 이질감을 느끼고 있다.

유달승 한국외대 이란어과 교수는 “최근 이란의 반정부 시위는 정치적 변화 이전에 경제적 변화 요구를 내걸고 있으며 명확한 구심점이 없고 조직화하지 않았다”며 “시위가 확산할 경우 체제 전복이 아니라 오히려 종교계를 중심으로 군을 내세워 강압 통치가 이뤄질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정철순 기자 csjeong1101@munhwa.com

[문화닷컴 바로가기|문화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모바일 웹]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