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부쩍 심해진 잠꼬대.. 치매·파킨슨병 전조 증상?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 11. 22. 17:54 수정 2018. 11. 22. 18:24기사 도구 모음
갑자기 잠꼬대가 늘고 그 정도가 심해졌다면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 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그 결과, 렘수면행동장애가 있어 대뇌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사람의 뇌파는 치매나 파킨슨병 초기 단계의 뇌파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실제 노년기에 발생하는 렘수면행동장애가 5~10년 후 치매나 파킨슨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 과도한 잠꼬대를 한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게 좋다고 당부한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갑자기 잠꼬대가 늘고 그 정도가 심해졌다면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 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잠꼬대는 보통 수면 단계 중 '렘수면' 단계에서 나타난다. 렘수면은 얕은 잠을 잘 때인데, 안구가 움직이고 꿈을 꾼다. 이때 호흡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이 마비되는 것이 정상인데, 스트레스나 노화, 피로 등이 심해지면 근육이 제대로 마비되지 않으면서 잠꼬대를 할 확률이 높아진다. 잠꼬대 중에 크게 소리를 지르거나, 옆 사람을 발로 차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렘수면행동장애'로 진단한다. 그런데 렘수면행동장애는 치매나 파킨슨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 교수팀이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20명과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수면 전후 뇌파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렘수면행동장애가 있어 대뇌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사람의 뇌파는 치매나 파킨슨병 초기 단계의 뇌파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실제 노년기에 발생하는 렘수면행동장애가 5~10년 후 치매나 파킨슨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 과도한 잠꼬대를 한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게 좋다고 당부한다.
한편 뇌 건강을 위해서는 평소 견과류, 오메가3지방산을 챙겨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헬스조선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파킨슨병, 횡단보도서 갑자기 못 움직이기도.. 환자 삶의 질 저하 '심각'
- 파킨슨병 증상 완화 효과 일시적.. 부작용도 있어
- "뇌심부자극술, 약 안 듣는 파킨슨병 환자에게 희망"
- "파킨슨병 환자, 앞으로 넘어지면 더 위험"
- 완치법 없는 '파킨슨병' 침 치료 병행하니 효과
- 노인 100명 중 2명 '파킨슨병'.."손발 떨림, 단순 노화증상 여겨선 안돼"
- 노인, 수면부족하면 치매‧파킨슨병 위험
- [의학칼럼]특별히 한 것도 없는데 무릎이 왜 아플까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스트레칭하려 '꾹' 눌렀는데… 아뿔싸, 인대 손상?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머리카락은 계속 자라는데, 눈썹은 왜 그대로일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