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로켓 무시하던 러시아, 이젠 같이 만들자네요"

대전/최인준 기자 2018. 12. 6. 03: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진한 항공우주연구원 개발단장
누리호에 쓰일 75t급 로켓 엔진 세계 7번째로 독자 개발 성공시켜

"선진국들도 첫 번째 로켓 발사 성공 확률이 30%가 안 됩니다. 한국은 이 어려운 일을 첫 시도 만에 성공한 것입니다."

지난달 30일 대전 유성구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만난 김진한 발사체엔진개발단장은 "비록 1단 로켓만 있는 시험 발사체지만 우리 힘으로 개발한 엔진을 첫 비행에서 성공시킨 것은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성과"라며 "8년 동안 엔진 개발에 매달려온 저도 로켓이 힘차게 올라가는 모습이 믿기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2000년대 중반 나로호 사업과 2010년 시작된 한국형 발사체(누리호) 개발 사업에서 발사체의 핵심인 75t급 엔진 개발을 이끌어온 연구 책임자다. 지난달 28일 이 엔진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시험 로켓 발사에서 엔진 연소 시간과 최대 도달 고도 등 대부분의 수치에서 목표 이상의 성과를 거뒀다. 한국은 이번 발사로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75t급 액체연료 로켓 엔진을 독자 개발한 나라가 됐다. 김 단장은 "나로호 개발 당시 두 번이나 발사에 실패한 경험이 있어 발사 전날 한숨도 못 잤다"며 "성공했다는 결과가 나온 뒤에 힘이 쫙 빠져서 동료와 후배들에게 '수고했다'는 말도 제대로 못 했다"고 했다.

김진한 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엔진개발단장이 지난달 30일 대전 연구원 본관에서 자신이 개발한 75t급 로켓 엔진 옆에서 웃고 있다. 김 단장은 7년 반 만에 독자 기술로 로켓 엔진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 단장은 이번 발사 성공으로 한국 우주 기술력을 바라보는 해외의 시선이 180도 달라졌다고 한다. 통상 독자 기술로 75t급 로켓 엔진을 개발하는 데 평균 10년이 걸리는데 한국은 7년 반 만에 실제 비행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특히 로켓의 핵심인 엔진 기술은 돈을 주고도 해외에서 사올 수 없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고 성공 가능성도 높지 않다. 김 단장은 "나로호 사업 당시만 해도 공동 개발에 참여한 러시아 연구진이 '한국이 로켓을 만드는 게 사실이냐'며 무시하는 분위기가 강했다"며 "하지만 이번 발사 직후 러시아를 비롯한 해외 엔지니어들이 '어떻게 그렇게 빨리 엔진 개발에 성공했느냐'며 문의가 쏟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에는 러시아의 엔진 개발 업체에서 연구원을 한국에 보낼 테니 공동 개발하자는 제의도 들어왔다"고 말했다.

긴 개발 과정에서 가장 견디기 힘들었던 것은 국내의 따가운 여론이었다. 2013년 나로호 성공 당시 인터넷에는 '러시아 로켓 아니냐' '우리가 러시아를 대신해 로켓 성능을 검증해준 것'이라며 개발 성과를 깎아내리는 악성 댓글이 많았다고 한다. 핵심인 1단부 로켓을 러시아에서 들여왔기 때문이다. 김 단장은 나로호 사업 당시에도 로켓 엔진 개발에 참여했다. 그는 "이번 로켓 발사 후에는 '자랑스럽다' '세금은 이런 연구에 써야 한다'며 격려해주는 분이 많아 힘이 났다"고 말했다.

그는 발사 성공 이후 휴식도 없이 바로 다른 엔진 개발에 들어갔다. 2021년 발사될 누리호 제작을 위해 2020년까지 20개의 엔진을 만들어야 한다. 그는 엔진 개발을 위해 1년의 절반은 대전을 벗어나 창원(한화테크윈), 고흥(우주센터)을 오가고 있다. 김 단장은 "2021년에도 지금처럼 국민이 기뻐할 수 있도록 다시 고삐를 조이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