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당뇨병 근본 치료 가능한 새로운 표적 제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을 제시했다.
이인규 교수(경북대), 임재찬 교수(대구가톨릭대)는 근육에서 세포소기관의 상호작용을 제어해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을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 16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을 제시했다.
인슐린 저항성은 식후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작용이 정상보다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국내 당뇨병 환자는 꾸준히 증가해 30세 이상 성인의 7명 중 1명(14.4%)에 달한다. 현재 처방되는 약물요법으로는 증세를 관리하는데 그칠 뿐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세포소기관으로부터 질병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내고자 했다. 이 연구는 근육에서 미토콘드리아 효소인 PDK4가 세포소기관을 조절해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됨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 비만 동물의 근육에서 PDK4가 증가하면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사이의 연결이 과도하게 증가한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로 칼슘 유입이 증가하면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과 인슐린 저항성이 생긴다.
실제 PDK4가 결핍된 생쥐에서 미토콘드리아-소포체의 상호작용이 억제돼 근육의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됐다.
이인규 교수는 “지난 연구에서 PDK4를 억제해 간의 포도당 생성을 제어한 데 이어 이번 연구에서 PDK4를 억제해 근육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켰다”라며 “향후 PDK4를 억제하는 신규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지속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X프로젝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당뇨병 분야 최고 권위지인 ‘당뇨병(Diabetes)’에 12월 6일 게재됐다.
이연호 (dew9012@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넥슨 김정주, 디즈니 인수추진 때와 180도 달라..정말 심각
- 손혜원 '목포 괴담의 전말'이 투기?..땅값 4배? 약간은 올랐다
- 태권도계 미투 "승합차 마지막 내릴 사람 지정해 야산 몰고갔다"
- 이재오 황교안 당대표 출마? 탄핵 역사 거꾸로 돌리나
- 신유용 "성폭행 코치, 레스토랑에서 밥 사주면 항상 모텔로 데려갔다"
- 손혜원 "주식투자 경험도 없는 제가 목포에 투기를?"
- 갤럭시·아이폰의 엇갈린 행보..부품株도 희비교차
- 먹다 남은 샌드위치, 3137만원에 팔린 까닭
- [팩트체크]평생 1회만 세제 혜택?.. 임대주택에 관한 오해와 진실
- 경제 어렵다는데..韓 신용위험 금융위기 이후 최저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