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단독]감정노동이 뭐죠?..콜센터 전화 없앴더니 이직율 0%

이수기 2019. 1. 17. 11: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직원·고객 모두 해피…음성 없는 콜센터 실험 4개월

17일 서울 용산구 원효로에 위치한 카카오 고객센터(콜센터). 말소리 대신 연신 키보드 자판 두드리는 소리만 콜센터 내부를 채웠다. 전화벨 소리와 통화 음성으로 가득 찬 일반적인 콜센터와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200여 명의 상담직원이 일하고 있지만, 고객센터라기보다는 보통의 사무실과 비슷한 느낌이다. 박은영(44) 카카오 고객센터장은 “19년째 고객 상담 업무를 하고 있는데 그간 경험한 곳 중 가장 조용하고 마음 편한 상담센터인 것 같다”며 웃었다.

카카오 채팅기반 상담의 초기 화면. [사진 카카오]


하루 6000여 건 채팅 상담으로 처리
카카오가 지난해 10월부터 음성이 아닌 메시지 ‘채팅’ 중심으로 고객센터 운영 방식을 바꾸면서 대표적인 감정노동자인 콜센터 상담 직원의 스트레스가 크게 줄었다. 동시에 상담 고객 만족도도 높이는 두 가지 토끼를 잡는 데 성공했다.
카카오에는 하루 평균 1만2000건 이상의 각종 상담이 접수된다. 이중 음성은 500건(4.2%)에 그치고, 나머지는 모두 텍스트(문자)로 이뤄진다. 카카오 고객센터의 상담 방식은 크게 인공지능 기반의 챗봇(chatbotㆍ채팅로봇)과 상담 직원이 이용자와 카카오톡으로 채팅하는 상담톡의 두 가지로 나뉜다. 이중 상담톡이 콜센터 상담직원들의 영역이다. 과거처럼 음성 통화에 의한 상담은 아이디 도용이나 사칭 등 긴급한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운영한다.
전체 상담 중 6000여 건은 챗봇이, 나머지 절반 정도를 상담원들이 처리한다. 이용자가 자신의 문의 사항을 ‘채팅봇’에 문의하거나, 상담원과 ‘채팅’할지를 스스로 골라 민원 사항 등을 해결할 수 있다. 금융권 등의 고객 센터에서 일부 채팅봇을 활용하는 경우는 종종 있지만, 음성을 거의 운영하지 않고 채팅을 중심으로 고객 센터를 운영하는 곳은 카카오가 유일하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카카오가 채팅 기반으로 고객센터 운영 방식을 바꾼 건 현실적인 이유에서였다. 과거 음성통화 방식 중심일 땐 전화연결 지연에 따른 고객 불만이 많았다. 실제로 문의 전화가 하루 1만 건 이상 걸려오면서 상담직원과 불만 고객이 실제 통화를 하는 전화 연결률은 50% 선을 맴돌았다. 이는 이용자들의 불만을 키우는 요인이 됐다. 여기에 음성 통화에 따른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상담직원이 많은 데다, 젊은 이용자들이 음성통화보다 카카오톡이나 라인 같은 문자에 기반을 둔 의사소통에 더 익숙하다는 점도 고려됐다. 실제 한국고용정보원 조사 결과 콜센터 상담직원을 비롯한 텔레마케터 직업군은 감정노동이 가장 많은 직업군으로 나타난 바 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15% 달했던 이직률 0%대로
콜센터 운영방식을 음성 중심에서 채팅 중심으로 바꾼 지 4개월째인 지금 효과는 뚜렷하다. 우선 고객센터 대표적인 감정 노동자인 고객센터 상담직원들의 마음 관리가 한결 수월해졌다. 노기 섞인 불만 고객의 음성을 직접 듣지 않다 보니 그만큼 스트레스가 줄었다. 온종일 통화 음성으로 시끄럽던 콜센터 업무 환경이 개선된 것은 물론이다. 상담 도중 모르는 내용을 직원들끼리 서로 물어보면서 처리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자연스레 상담직원 간 편안한 대화도 가능해졌다. 실제 상담톡 도입 전엔 월 평균 15%에 달했던 이직율이 현재는 대학교 복학이나 진학 등의 이유를 제외하면 사실상 0%가 됐다. 자체 조사 결과 상담직원들의 업무 만족도는 과거 50점 대에서 80점 선으로 올라갔다. 박 센터장은 “많을 땐 한달에 30여 명씩 직원들이 퇴사했었는데, 현재는 퇴직자가 극적으로 줄어든 것은 물론 고객센터 입사 희망자가 늘어나고 있을 정도”라며 “상담톡 도입 초기에 측정한 업무 만족도가 80점 대였는데, 요즘 다시 측정한다면 만족도가 최소 90점은 될 것같다”고 웃으며 말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여러 채팅창 띄워 고객 대기시간 1분이하
업무효율도 더 높아졌다. 동시에 3~4개의 채팅창을 띄워놓고 고객 불만에 대응할 수 있다보니 과거 50% 선을 맴돌던 연결율은 현재 95%까지 높아졌다. 고객들의 평균 대기시간도 1분 이하다. 상담 중 문의사항 관련 영상이나 인터넷 링크를 보낼 수 있어 불만 고객들의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상담톡은 특히 시차가 있는 해외 이용자나 음성 통화가 곤란한 장애인 사이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여기에 콜 포비아(call phobiaㆍ타인과 음성통화를 꺼리는 심리상태)가 있는 이도 편하게 상담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장점이 알려지면서 카카오 고객센터를 벤치마킹하고 싶다는 다른 고객센터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이준목 카카오 이용자보호 팀장은 “카카오 고객센터를 상담 챗봇과 상담톡 중심으로 재편한 뒤로 기대 이상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며 “카카오가 가진 인공지능(AI) 관련 기술과 상담톡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게 서비스 안정화와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수기 기자 retalia@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