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밥 한 공기가 쌀 100g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1인당 하루에 밥 한 공기 반 정도를 먹은 셈이다.
쌀 소비 감소율은 2016년 1.6%(62.9㎏→61.9㎏), 2017년 0.2%(61.9㎏→61.8㎏)에 그치는 등 최근 3년간(2016∼2018) 크게 둔화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쌀 소비 감소율 둔화 요인으로는 우선 최근 크게 늘어난 1인 가구를 2017년부터 조사대상에 포함한 것을 들 수 있다. 가정 간편식 소비 확대도 거론된다. 우리나라 사람은 즉석밥과 즉석국 등 간편식을 사는 데 한 달 평균 7만8875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쌀 소비 촉진 정책 등도 감소율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쌀 이외의 기타양곡 소비량은 8.4㎏으로 전년 대비 0.7㎏(7.7%) 줄었다. 1인당 쌀과 기타양곡 소비량을 더한 양곡소비량은 69.5㎏으로 전년 대비 2.0%(1.4㎏) 감소했다. 1인당 연간 양곡소비량은 198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30년 전인 1988년 133.4㎏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지난해 제조업에서 제품 원료로 쌀을 사용한 양은 75만5664t으로 전년보다 6.8% 늘었다. 업종별로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 식품이 14만7474t으로 1년 전보다 29.0% 증가했다. 20, 30대 1인 가구를 중심으로 도시락, 가정간편식 소비가 늘었음을 보여준다. 면류·마카로니 및 유사식품도 전체 쌀 소비량은 1만8434t으로 비중은 작지만 증가율은 32.7%로 높았다. 장류 제조업도 1만2029t으로 전년 대비 10.4%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가정간편식 등 최근 식품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쌀가공식품 개발 지원 등을 통해 쌀 소비 확대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또 어린이 등을 대상으로 쌀 중심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지원하고, 쌀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 등 교육, 홍보를 지속할 계획이다.
송민섭 기자·세종=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단독] '알몸 시신' 청양 모녀 미스터리에…경찰 "종교의식 치르다 익사 가능성"
- “남자는 못 먹어도 부부 교사”…신규교사 연수원서 터진 성희롱 ‘논란’
- 26세 母 “남편이 사촌 동생과 바람나…양육권 고민 중” 서장훈 “짐승만도 못해” 분노
- “새벽에 두 번 아침에 한 번…전성기 때는 7번도” 아내가 너무 예쁜 정력가 남편(애로부부)
- 11세 연하랑 재혼한 윤다훈 근황 “4년차 기러기 아빠이자 주류회사 부회장”
- 집안일은 아내의 도리?…“시대착오적” 비난 부른 최홍림 발언(동치미)
- 윤승아♥김무열, 100평대 4층 집 건축…“다음엔 완공 돼서 올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