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축사 덕에 젖소 번식률 껑충"

박준석 2019. 1. 29. 04: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2022년까지 스마트축사 확 늘린다

김우일 우일목장(충남 보령시) 대표는 목걸이 형태의 센서인 발정탐지기를 젖소마다 부착해 젖소의 건강 상태와 가임기 여부 등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수시 확인하고 있다. 이 같은 정보통신기술(ICT) 시스템을 통해 젖소의 번식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됐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지난 2013년, 아버지가 30년간 운영해 온 목장을 물려받은 김우일(42) 우일목장(충남 보령시) 대표는 곧바로 축사에 정보통신기술(ICT) 시스템 구축 작업부터 착수했다. 70마리 젖소의 착유량 등을 일일이 손으로 쓰던 기존 방식으론 효율적인 목장관리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젖소의 활동량을 감지하는 발정탐지기(목걸이) △온ㆍ습도 수집장치 △착유량 기록장치 등을 설치해 스마트폰과 연동시켰다.

이후 김 대표는 아침ㆍ저녁 젖소의 착유량을 측정해 개체별 영양상태를 보고 사료를 배합한다. 더위에 약한 젖소를 위해 축사 온도가 너무 높으면 환기와 안개분무기를 원격 조정으로 작동시킨다.

김 대표는 “특히 발정탐지기가 효자”라고 말했다. 젖소는 발정기에 평소보다 활동량이 늘어나는데 육안으론 이를 포착하기 어려워 번식기를 놓칠 때가 많았다. 하지만 24시간 젖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발정탐지기 덕에 번식효율이 크게 높아졌다는 것이다.

소, 돼지 등을 기르는 축사에도 4차 산업혁명의 바람이 불고 있다. ICT 기술을 접목해 스마트폰으로 축사의 온ㆍ습도 등을 조절하고, 가축의 활동량 등 생태 데이터를 축적해 최적의 사육환경을 만드는 ‘스마트축사’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의 스마트축사는 790개로, 5년 전인 2014년(24개) 대비 약 33배 늘었다. 농식품부는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축사를 약 5,750곳까지 늘릴 계획이다.

김우일 우일목장 대표가 우유를 생산하는 착유소 70마리의 활동량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확인하고 있다. 소에 부착된 목걸이 형태의 발정탐지기가 활동량 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통해 발정기를 체크한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고령화, 생산성 정체… 스마트축사로 해소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국내 축산농가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37.3%에 달한다. 40세 미만 비중은 2.8%에 불과하다. 고령화와 후계농 부재가 겹치며 축산업은 진작부터 생산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실제 축산농가 규모는 2010년 약 8만1,000가구에서 2017년 5만5,000가구로 32%나 감소했다. ‘고령화→시설ㆍ설비투자 유인 감소→생산성 정체 및 악취ㆍ방역 취약’ 등의 악순환도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축사는 이 같은 우리나라 축산업의 문제를 해소할 대안 중 하나로 꼽힌다. 김현중 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한국 축산의 가장 큰 문제가 분뇨에 따른 악취, 구제역ㆍ조류인플루엔자(AI) 등 전염병에 취약한 방역체계 등인데 스마트축사 도입으로 이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전남 나주시 A양돈농가에서는 돼지 분뇨가 우리 아래 정화장치로 곧장 떨어지도록 만든 시설을 현대화해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스마트축사로 축사 환경이 개선되면 청년층이 활발히 유입되고 고령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2016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축사 도입 이후 농가의 가축 분만율은 2.5% 증가한 반면 질병 발생에 따른 피해액은 43.9% 감소했다. 2014년 1억원(자기부담 2,000만원)을 투자해 스마트축사를 도입한 충남 천안시의 B양돈농가는 도입 이후 돼지 한 마리당 출하두수가 약 5%(20→21마리) 증가했다. 강원 철원군의 C목장도 자동착유기 등 ICT 시스템을 구축한 이후 젖소 한 마리당 착유량이 7.5%(1일 33~34→35~37kg) 늘었다.

국내 스마트축사 보급량. 그래픽=송정근 기자

◇2022년까지 스마트축사 5,750곳으로

이에 정부도 스마트축사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축산농가 800곳에 △자동환경제어기(온ㆍ습도 및 악취 등) △개체정보 관리(질병 등) △자동 사료급이기 △착유기 등 각종 ICT 장비 구축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600곳)보다 지원규모를 대폭 늘린 것이다.

또 축산농가(한우, 젖소, 돼지, 닭 등)에 ICT 시설 구축 비용의 80%(국고 30%+금리 2%의 저리대출 50%)를 보조해준다. 이를 통해 오는 2022년까지 총 5,750곳의 스마트축사를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 전국 3곳에 ICT 기술을 토대로 공동 방역 및 분뇨처리가 가능한 ‘스마트축산 시범단지’도 조성하기로 했다.

세종=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공동기획 농림축산식품부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