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물가 상승률 1년만에 0%대..석유류 2년7개월來 최대폭↓(2보)

장서우 2019. 2. 1. 08: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 유가 하락과 유류세 인하 영향이 겹쳐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작년 1월 이후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휘발유, 경유 등 석유류 가격의 하락 폭이 2년7개월만에 가장 컸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국제 유가와 유류세 인하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하락한 것이 주된 영향"이라며 "채소류, 축산물 등 하락으로 농·축·수산물 물가의 상승 폭도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1일 '2019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농·축·수산물 상승 폭 둔화..채소류·축산물 등↓
외식 물가, 10개월째 3%대 유지..김밥 6.5% ↑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15일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에서 기름이 판매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인 오피넷에 따르면 15일 휘발유 가격은 1348.16원, 경유는 1245.88원이다. 한편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2018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수출물가는 원화기준 84.07(2010년=100기준)로 전월보다 2.0% 하락했고 수입물가도 85.01로 3.4% 떨어졌다. 이는 국제유가가 하락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019.01.15. mangusta@newsis.com

【세종=뉴시스】장서우 위용성 기자 = 국제 유가 하락과 유류세 인하 영향이 겹쳐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작년 1월 이후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휘발유, 경유 등 석유류 가격의 하락 폭이 2년7개월만에 가장 컸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24(2015년=100)로 1년 전보다 0.8% 올랐다.

1년 만에 1% 아래로 내려간 것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1월 0.8% 상승한 이후 2~12월 매달 1%를 웃돌았고, 9~11월엔 2%대까지 오르기도 했었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공업제품이 0.7%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22%p 끌어내렸다. 공업제품은 2016년 10월(0.4%) 이후 전반적인 상승 흐름을 유지하다 이번에 하락 전환했다.

특히 석유류가 9.7% 떨어지며 물가 하락에의 기여도가 컸다. 하락 폭은 2016년 6월(-9.7%) 이후 가장 컸다. 휘발유(-12.7%),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9.4%), 경유(-7.0%) 등 가격이 모두 내렸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국제 유가와 유류세 인하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하락한 것이 주된 영향"이라며 "채소류, 축산물 등 하락으로 농·축·수산물 물가의 상승 폭도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2.5% 올랐다. 전달 5.2% 올랐던 것에 비해 절반 정도로 축소됐다. 농산물이 5.3% 올랐음에도 채소류(-2.0%)와 축산물(-1.5%) 가격이 떨어진 영향이다. 품목 별로는 월동 배추 등이 나오면서 배추(-17.3%) 값이 크게 떨어졌고 이밖에 양파(-30.7%), 달걀(-12.4%), 고등어(-7.7%) 등의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오징어 등 어획량 감소로 수산물 상승률도 0.5%에 그쳤다.

구제역 여파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지난달 돼지고기 가격은 6.7% 감소했다. 김 과장은 "1월 물가엔 반영되지 않았고 2월 물가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2000년 이후 구제역 영향으로 돼지고기나 소고기의 가격 변동이 크게 나타나진 않았다"고 언급했다.

공업제품 중 전기·수도·가스는 1.4% 올랐다. 도시가스가 3.5% 올라 상승 폭이 가장 컸고, 상수도료(0.7%), 지역 난방비(0.5%) 등도 가격이 올랐다.

서비스는 1.4% 올랐다. 집세의 상승 폭이 0.2%로 전달보다 소폭 둔화했다. 공공서비스는 휴대전화 이용료 감소 영향으로 -0.3% 떨어졌지만, 개인서비스가 2.5% 오르면서 전체 물가 상승률을 0.79%p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3.1%로 지난해 4월부터 10개월째 3%대를 유지 중이다.

김 과장은 "원재료와 더불어 최저임금 인상 영향에 지난해 1월부터 조금씩 올라 높은 수준이 지속되고 있다"며 "김치찌개, 된장찌개, 설렁탕, 삼계탕, 김밥 등이 모두 올랐다. 특히 김밥은 1년 전보다 6.5% 올라 가장 큰 폭이었으며 죽(6.4%), 치킨(5.9%), 떡볶이(5.7%) 등 가격도 상승했다"고 부연했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1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0.4% 올랐다. 석유류 가격 하락분이 반영된 결과로, 2016년 8월(-0.2%) 이후 2년5개월만에 최저 상승률이다.

생선,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2% 상승했다.

계절적·일시적 요인을 제거하고 장기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는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근원물가)는 1.2% 올랐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1.0% 상승했다.

suwu@newsis.com
up@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