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박원순 "3·1 운동에서 미투까지 여성이 저항주체"
입력 2019. 02. 14. 14:39 수정 2019. 02. 14. 15:28기사 도구 모음
박원순 서울시장은 14일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이 100년 전 3·1 운동의 정신을 계승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우리 사회는 나라를 지키고 만들어 온 수많은 여성을 제대로 기억하지 않았다"며 "여성의 기억으로 역사를 만들고, 여성의 역사로 미래를 만드는 서울시장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아카이브는 우리 사회 성 평등을 견인한 인물과 사건의 기록을 보관한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방현덕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은 14일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이 100년 전 3·1 운동의 정신을 계승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이날 오후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린 '2019 서울시 여성 리더 신년회'에 참석해 "많은 여성이 저항 주체로서 독립운동(3·1 운동)에 참여했고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있게 됐다"며 그 정신은 1987년 민주화 운동, 2016∼2017년 촛불집회,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미투 운동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우리 사회는 나라를 지키고 만들어 온 수많은 여성을 제대로 기억하지 않았다"며 "여성의 기억으로 역사를 만들고, 여성의 역사로 미래를 만드는 서울시장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이 자리에서 서울여성플라자 2층 성평등도서관에 설치된 '서울시 성 평등 아카이브'의 정식 론칭을 선언했다. 아카이브는 우리 사회 성 평등을 견인한 인물과 사건의 기록을 보관한다.
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성별 임금 격차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전해보려고 한다"며 "임금 격차 실태를 파악하고 대안을 마련할 차별조사관과 성별 임금 격차개선위원회를 설치해 '성 평등 임금 공시제'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banghd@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초등생이 싸움 말리는 담임교사 흉기로 위협…교권보호위 소집
- 尹 나토서 '백지화면' 업무?…대통령실 "보안 이유로 빈 모니터"
- 야구 선수 서동민-배구 선수 김연견, 16일 인천서 백년가약
- 박지현, 당권 도전 무산에 "지도부·이재명, 무엇이 두렵나"
- "래퍼 도끼, 귀금속 미납대금 지급하라"…법원 강제조정
- 장마 끝나려면 멀었는데…단 하루 폭우에 차량 326대 침수
- '득점왕 경기' 뒷이야기 밝힌 손흥민 "모두가 도와줘 더 행복"
- 육군 일병이 부대서 13억원 인터넷 도박…김승수 "대책 시급"
- '文치매' 발언에 정치자금법 위반까지…김승희, 39일만에 '낙마'
- "이탈리아 돌로미티 최고봉 빙하 붕괴…등반객 덮쳐 6명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