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째 피폭

2019. 2. 25. 12: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후쿠시마에서 핵발전소가 폭발한 뒤 8년이 지났다.

"한두 해 뒤면 돌아갈 수 있을 줄 알았는데, 8년이 지났다. 값싼 전기를 준다는 말에 속았다. 과학이 무섭다." 이 할머니의 모습에서 "765㎸ 송전탑은 핵발전소의 자식이다"라고 절규하던 경남 밀양 할머니들의 모습이 겹쳐 보였다.

3월4일부터 24일까지 부산시청역 통로 전시장과 부산진구청·부산시의회 등에서 후쿠시마핵발전소와 부산 기장군 고리핵발전소 주변 사진들을 볼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21] 후쿠시마 원전 사고 8년…
일본 정부 귀환 정책 펴지만 현재진행형인 피폭의 공포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제1단지(핵발전소 6기가 있음)의 폭발 사고는 반경 20㎞ 내의 지역을 사람이 살 수 없는 ‘영구피난지역’으로 선포하게 했다. 핵발전소 복구 공사 모습이 뒤편으로 보이는 들녘에 고농도 방사능에 피폭된 폐기물 포대가 새카맣게 쌓여 있다.

일본 후쿠시마에서 핵발전소가 폭발한 뒤 8년이 지났다. 아직도 후쿠시마 곳곳은 사람들이 거주할 수 없는 피난구역으로 설정돼 있다. 방사능에 피폭된 오염토를 담은 새카만 포대가 100만 개 넘게 방치돼 있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부흥’이라는 이름으로 후쿠시마로 돌아가는 귀환 정책을 펴고 있다. 2020년 도쿄올림픽을 겨냥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지금도 일본과 후쿠시마는 안전하다고 선전한다. 한국과 일본의 핵발전소 안전 신화는 핵산업계 전문가 집단과 경제계, 그리고 언론이 앞장서 선전하고 있다. 안전 신화와 경제성장의 허구, 사적 이권과 유착된 ‘핵마피아’ 집단이 상호작용해 우상과 신화가 만들어졌다.

후쿠시마의 임시 주택에서 혼자 사는 한 할머니가 눈물을 훔치며 말했다. “한두 해 뒤면 돌아갈 수 있을 줄 알았는데, 8년이 지났다. 값싼 전기를 준다는 말에 속았다. 과학이 무섭다.” 이 할머니의 모습에서 “765㎸ 송전탑은 핵발전소의 자식이다”라고 절규하던 경남 밀양 할머니들의 모습이 겹쳐 보였다. 사진은 주로 지난해 촬영됐다.

후쿠시마 핵발전소 1단지와 2단지(핵발전소 4기가 있음) 사이에 있는 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도미오카는 ‘귀환 곤란구역’으로 지정돼 유령도시가 되었다.
후쿠시마 핵발전 단지 들머리에서 교통 통제를 하는 노동자. 하청과 재하청의 고용구조다.
고농도 방사능에 피폭된 가연성 핵쓰레기 폐기물을 태우는 모습. 바람의 방향에 따라 여기서 생기는 연기에 다시 피폭되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핵발전소 폭발 뒤 바람의 영향으로 가장 피해가 컸던 이타테마을에는 지금도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가 경고음을 울릴 정도로 오염이 심하다.
후쿠시마 임시 주택에 사는 할머니들. 삶의 터전을 잃고 눈물짓는 이들의 모습에서 송전탑 투쟁을 벌이는 ‘밀양 할매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후쿠시마 핵발전소로부터 40㎞가량 떨어진 이타테마을에는 여기저기 피폭된 차량이 버려져 있다. 바람과 비의 영향으로 방사능 피폭이 가장 심했던 곳이다.

후쿠시마(일본)=사진·글 장영식 사진가

장영식씨는 일본의 환경사진가 도요다 나오미와 함께 ‘후쿠시마의 7년, 존엄의 기록과 기억-그리고 부산’이라는 주제로 사진전을 연다. 3월4일부터 24일까지 부산시청역 통로 전시장과 부산진구청·부산시의회 등에서 후쿠시마핵발전소와 부산 기장군 고리핵발전소 주변 사진들을 볼 수 있다.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1566-9595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