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들의 3·1운동은 일제 식민통제에 대한 저항"

2019. 2. 27. 13: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생들의 3·1운동은 일제의 식민통제에 대한 저항이자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적극적인 행위였다."

27일 수원박물관 이동근 학예사는 박물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3·1운동과 기생에 대하여'를 주제로 발표하면서 기생들의 3·1운동 참여를 이렇게 평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원박물관서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수원=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기생들의 3·1운동은 일제의 식민통제에 대한 저항이자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적극적인 행위였다."

만세운동을 벌인 수원기생 33인 (수원=연합뉴스) 일제강점기인 1919년 3월 29일 수원기생 33명이 수원화성의 봉수당에서 만세운동을 벌였다. 사진은 독립운동에 참여한 수원 기생들의 모습으로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경성일보가 1918년 발간한 '조선미인보감'에 소개한 프로필 사진. 2019.2.14 [수원시 제공] hedgehog@yna.co.kr

27일 수원박물관 이동근 학예사는 박물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3·1운동과 기생에 대하여'를 주제로 발표하면서 기생들의 3·1운동 참여를 이렇게 평가했다.

이 학예사는 1919년 3월 19일 경남 진주 기생독립단, 3월 29일 경기 수원 수원예기조합 33명, 3월 31일 경기 안성 안성조합기생, 4월 1일 황해도 해주 해주기생 10여명, 4월 2일 경남 통영 기생단 7명의 만세운동을 조선시대 기생들의 대표적인 3·1운동으로 꼽았다.

특히 1919년 3월 29일 김향화를 주축으로 한 수원예기조합 소속 기생 33명의 만세운동에 대해서는 "일제에 의해 훼손된 화성행궁에서 치욕적인 건강검진을 받아야 했던 상황에 대한 저항이었다"라는 해석을 내놨다.

당시 일제는 조선의 왕을 상징하는 화성행궁을 의도적으로 무너뜨리고 식민지 행정기구와 병원을 지었다.

1910년 정조대왕의 사당이었던 화령전에 자혜의원을 설치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화성행궁의 정궁인 봉수당으로 옮겼다.

수원기생들은 자혜의원으로 건강검진을 받으러 가는 치욕적인 날 자혜의원 앞에서 김향화를 필두로 만세를 불렀다.

이 학예사는 "수원 기생들의 고향 집과도 같았던 화성행궁을 무너뜨리고 지은 병원에서 성병 검사를 받아야 했던 기생들은 매우 큰 수치심을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생들이 만세운동을 한 수원화성 봉수당 (수원=연합뉴스) 일제강점기인 1919년 3월 29일 수원기생 33명이 만세운동을 벌인 수원화성의 봉수당. 봉수당은 효성이 지극했던 조선 시대 임금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치른 유서 깊은 곳이었지만, 일제는 기생들이 건강검진을 받는 자혜의원으로 사용했다. 2019.2.14 [수원시 제공] hedgehog@yna.co.kr

그는 "조선 시대의 전통적인 기생은 비록 천한 신분이었으나 궁궐과 관청에 소속된 관기(官妓)로서 예술적 재능뿐 아니라 학문도 겸비한 다재다능한 존재였다"라고 평가하면서 "우리 민족이 거족적으로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분연히 떨쳐 일어섰을 때 기생들은 주저하지 않고 식민지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권 투쟁의 대열에 참여했다"라고 설명했다.

학술대회 기조 강연에 나선 윤경로 전 한성대 총장은 "여성들은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시대적 상황을 자각하고 스스로 혁명의 주역으로서 일어났다"라면서 "여성들의 참여는 3·1 혁명이 단순한 만세운동이 아니라 남녀의 차이, 계급과 계층의 차별, 나이의 차이를 타파하는 전 민족의 거족적 운동임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일여학교 출신 인물의 민족운동'을 주제로 발표한 정명희 국가보훈처 연구원은 "나혜석, 임순남, 박충애, 최문순 등이 독립운동의 주도적 인물로, 또 근대적 엘리트 여성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수원삼일여학교에서의 체험 덕분"이라며 "삼일여학교는 수원지역 민족교육의 산실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인사말에서 "기록되지 못한 여성 독립운동가의 역사를 발굴하고 다음 세대에 전하는 것은 현재를 사는 우리의 의무이자 책임이다"라며 "후손들이 그들의 희생과 헌신에 감사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여성 독립운동가를 발굴하겠다"라고 말했다.

hedgehog@yna.co.kr

☞ '마약혐의 구속' 버닝썬 직원, 김무성 사위와도 투약
☞ "오빠는 연쇄살인범입니다" 여동생의 고백
☞ 日관광객, 한국 재래시장 뒤져 사가는 아이템 1위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4월 11살 연하와 화촉
☞ 승리 "마약검사 받겠다"…'성접대' 의혹에도 시끌
☞ 리조트 18층서 알수 없는 이유로 매달린 20대 결국…
☞ 협상 이끄는 北실무 4인방 눈길 끄는 이유
☞ 10대 여중생 베란다서 극단 선택…부모와 무슨 일이?
☞ "이별통보한 여친 닮았어"…여고생 벽돌로 친 20대
☞ 日人 살해후 탈옥한 백범 김구…"나도 안동 김씨"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