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회담 결렬 최대 수혜자는 일본? 아베도 스가도 "트럼프의 결단"

서승욱 2019. 3. 1. 15: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드 딜보다는 노 딜" 일본 입장 관철한 트럼프 환영
소식통 "남북 진전 위해서라도 한일관계 방치 어려워"
日언론들 "북미 관계 출렁일때가 일본에겐 기회"분석
아베,리모콘으로 트럼프 회견 중계 TV 볼륨 직접 올려
아사히 신문 "핵과 미사일 진전 없이 납치 진전 어려워"

28일 오후 4시가 좀 넘은 시간 일본 총리 관저 수상 집무실.

베트남 하노이에서 날라온 북ㆍ미 정상회담 결렬 소식에 이어 TV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인터뷰가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지난해 7월 워싱턴에서 회담한 아베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AFP=연합뉴스]
측근과 환담중이던 아베 신조(安倍晋三)총리는 자신이 직접 리모콘을 쥐고 TV 볼륨을 높였다. 함께 있던 측근에게 "(북ㆍ미 정상들 간의)런치도 없어졌다네"라고 말한 뒤 아베 총리는 조용히 TV를 지켜봤다고 한다. 1일 일본 언론들이 보도한 총리관저 집무실의 전날 광경이다.
그동안 "배드 딜(안좋은 합의)보다는 노딜(결렬)이 낫다"는 입장에 서 왔던 일본 정부는 '트럼프의 노딜 결단'이라며 트럼프 대통령 지지 입장을 밝혔다.
"안이한 양보를 하지 않고, 북한에 구체적인 행동을 촉구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을 전면적으로 지지한다"(28일 아베 총리,1일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일본 정부 인사들은 북ㆍ미 회담이 가까워질수록 대북 제재 완화에 대한 반대입장을 더 분명히 밝히며, 미국과의 공조를 강조해왔다.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고노 다로 (河野太郎) 외상은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개는)제재가 해제된 뒤에야 할 수 있는 얘기"(22일),"핵ㆍ미사일의 ‘완전히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인 폐기’(CVID) 없이 대북 제재를 완화하지 않겠다는 게 일본의 입장이며, 이는 완전히 미국(의 입장)과 같다"(27일)고 했다.
아베 총리도 28일 국회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많은 시간을 소비하며 일본에 무엇이 중요한지, 무엇이 위험한지 명확하게 말해왔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인 양보를 경계해온 일본으로선 나쁘지 않은 결말인 셈이다.

일본 정부 내부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귀를 움켜쥐고 있는 아베 총리의 외교력이 먹혔다"는 평가도 나온다.
도쿄의 한국 소식통 역시 "남북, 북ㆍ미 관계의 진전을 위해선 한·일관계를 마냥 방치해선 안 된다는 시사점을 한국에도 던졌다"고 분석했다.

이밖에 아베 총리의 숙원 사업인 납치문제를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언급했다는 것도 일본으로서는 수확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연합뉴스]
아베 총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7일 김 위원장과의 1대1 회담에서, 또 직후 이어진 만찬에서 모두 두 차례에 걸쳐 납치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와 관련, 일본 내에는 "북ㆍ미 회담 결렬로 양측 관계가 덜컹대는 상황이 오히려 일본엔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한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있다.
TV 아사히 메인 뉴스 ‘보도 스테이션’의 해설자인 저널리스트 고토 겐지(後藤謙次)는 "(2002년 북한을 방문해 평양 선언에 합의했던)고이즈미 준이치로 정권 당시에도 미국의 부시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일 사이의 관계가 불안했다"며 "북한 입장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을 움직일 수 있는 존재'로서 아베 총리를 무시할 수 없겠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베 총리의 역할 공간이 커지고, 그 과정에서 납치문제 해결을 모색할 기회가 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다.
반면 아사히 신문은 "핵과 미사일 문제의 진전이 없을 경우 납치문제도 움직이기 어렵다"이라는 외무성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아시아·대양주 국장의 발언을 인용하며 "납치문제 해결의 출구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며 낙관론을 경계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