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자 절반은 고향으로 '유턴'..5년이면 농가 평균보다 더 번다

입력 2019. 3. 11.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귀농자 가운데 절반은 도시 생활을 하다가 연고지인 농촌으로 '유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귀농 5년이 지나면 우리나라 농가 평균을 웃도는 가구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 가구의 귀농 전 평균 소득은 4천232만원이었고, 귀농 첫해에는 2천319만원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귀농 가구의 평균 소득은 5년 차에는 3천898만원까지 올라 농가 평균 소득 3천824만원을 넘어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귀농 준비 2년 넘게 걸려.."문화·체육 서비스 확충 필요"
귀농, 귀촌 (PG)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세종=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우리나라 귀농자 가운데 절반은 도시 생활을 하다가 연고지인 농촌으로 '유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귀농 5년이 지나면 우리나라 농가 평균을 웃도는 가구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한국갤럽에 의뢰해 귀농·귀촌 2천507 가구를 직접 방문해 조사한 결과, 귀농·귀촌은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돌아오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귀농 가운데 53%, 귀촌 가운데 37.4%가 이 같은 '유턴' 성향을 보였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을 거쳐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J턴'은 귀농의 19.2%, 귀촌의 18.5%에서 나타났다.

귀농·귀촌을 선택한 이들은 자연환경, 정서적 여유, 농업의 비전 등 대부분 자발적인 이유를 댔다.

귀농은 '자연환경이 좋아서'라는 응답이 26.1%로 가장 많았고,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을 보고'라는 응답률도 17.9%를 차지했다. 이 외에 '도시 생활에 회의'(14.4%), '가족 등과 가까운 곳에서 살기 위해'(10.4%), '본인·가족의 건강'(10.4%), '실직이나 사업 실패'(5.6%) 등의 대답이 나왔다.

40대 미만 청년층에서는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이라는 대답이 29.0%로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장년층에서는 '자연환경이 좋아서'라는 응답이 28.0%로 가장 많았다.

귀촌의 이유로는 '자연환경이 좋아서' 20.4%를 비롯해 '가족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16.4%)·'정서적인 여유'(13.8%)·'도시 생활에 회의'(13.6%) 등이 뒤따랐다.

귀농·귀촌한 10가구 가운데 6가구꼴로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다. 3가구는 보통, 1가구는 불만족하다고 답했다.

귀농이 불만족스러운 이유로는 '자금 부족'이 30.0%로 가장 많았다. 귀촌의 경우 '영농 기술·경험 부족'이 53.0%로 수위를 기록했다.

귀농 준비 기간은 평균 27.5개월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귀촌 가구의 19.7%는 귀촌 이후 5년 이내에 농업에 종사했고, 귀촌 다음 해인 2년 차에 농업경영체에 등록한 경우가 78.3%로 가장 많았다.

귀농 가구의 귀농 전 평균 소득은 4천232만원이었고, 귀농 첫해에는 2천319만원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귀농 가구의 평균 소득은 5년 차에는 3천898만원까지 올라 농가 평균 소득 3천824만원을 넘어섰다.

그렇지만 귀농 가구의 43.1%는 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 외의 경제활동을 했고, 귀촌 가구의 87.2%는 직장 취업·자영업·농업 등의 경제활동을 했다.

월평균 생활비는 귀농 가구 196만원, 귀촌 가구 213만원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 선택 이유로는 '부모·친척이 사는 연고지'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전에 살던 곳 근처'가 두 번째로 많았다.

지역주민과 관계는 '좋다'는 이가 귀농은 76.9%, 귀촌은 62.5%였다. '관계가 좋지 않다'는 비율은 귀농은 2.0%, 귀촌은 1.7%로 나타났다.

지역주민과의 갈등 요인으로는 선입견, 텃세, 집·토지 문제,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 등이었다.

귀농·귀촌인들은 확충돼야 할 공공서비스로 문화·체육 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다. 취약계층 일자리, 임신·출산·양육 지원, 노인돌봄서비스 등도 들었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교육과 컨설팅 지원이 강화돼야 할 필요성이 크다며 "농촌 정착 시 소득 부족 해소를 위한 일자리 지원 강화도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번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심층 분석해 귀농·귀촌인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보완 방안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tsl@yna.co.kr

☞ "승리 '성접대 의혹' 카톡방에 연예인들…가수도"
☞ '18세 20일' 이강인, 벤투호 승선…역대 7번째 최연소
☞ 13년 전 '우물 속 알몸 시신 여인'…재수사 한다
☞ "북한처럼 하잔 거냐" 뿔난 수천명 시민들 시위 참여
☞ 수백억 현상금 걸린 김선생에 피신처 제공한 재력가
☞ 2분 지각해 추락 여객기 탑승 못한 '천운' 남성
☞ 재판 받으러 가는 전두환에 지지자들 "대통령님···"
☞ '피미족'을 아시나요?…미세먼지가 바꾼 일상
☞ 국민 3명 중 2명 '신용카드 소득공제' 에 대한 생각
☞ 美청소년 '인싸템' 전자담배 '줄' 들어온다는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