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사실 과장한 '日 적대 정책'은 대중의 분노 동원하는 정치"

조재연 기자 2019. 4. 5. 12: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정부는 '일본 적대시 정책'을 주요 정책 기조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일본 관련 정책과 역사적 사실을 과장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대중적 분노를 동원하는 정치 행위입니다."

김광동(사진) 나라정책연구원장은 5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자유경제포럼과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 주최로 열린 토론회 '반일·친일 프레임을 깨자: 일본을 이해하고 같이 발전해야'에서 맹목적 반일 감정을 유발하는 정부 정책에 정치적 목적이 담겨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광동 나라정책연구원장 ‘반일·친일 프레임…’ 토론회 발표

“맹목적 반일 감정 유발 정책은

공산 전체주의란 명백한 위협을

우호적 존재로 보게 하려는 것”

“문재인 정부는 ‘일본 적대시 정책’을 주요 정책 기조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일본 관련 정책과 역사적 사실을 과장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대중적 분노를 동원하는 정치 행위입니다.”

김광동(사진) 나라정책연구원장은 5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자유경제포럼과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 주최로 열린 토론회 ‘반일·친일 프레임을 깨자: 일본을 이해하고 같이 발전해야’에서 맹목적 반일 감정을 유발하는 정부 정책에 정치적 목적이 담겨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김 원장은 “일본 적대시 정책의 기본 목적은 우리 민족이 직면한 ‘현존하는 명백한 위협’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게 할 의도에 따른 것”이라며 “한국이 직면한 현존하는 명백한 위협이란 공산 전체주의 체제로부터 오는 것인데도, 그 전체주의를 명확하게 인식하기는커녕 오히려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존재로 보게 만들 목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친일(親日) 잔재 청산’ 발언에 대해서도 “인류가 직면한 보편적 문제였던 ‘빨갱이(공산주의자)’ 문제가 일본이 만든 잔재라는 식의 정치선전은 75년 이전의 역사가 된 일제에 적대감을 유지해 현존하는 북한 전체주의 독재를 우회적으로 지원하고, 우호적 협력 대상으로 착시하게 하는 파시즘적 정치동원”이라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 “빨갱이라는 표현과 색깔론은 우리가 하루빨리 청산해야 할 대표적 친일 잔재”라고 말한 바 있다. 이는 히틀러의 유대인 적대시 정책이나 마오쩌둥(毛澤東)·김일성의 미국 적대시 정책과 같은 파시즘적 정책이라는 게 김 원장의 지적이다. 정부가 3·1절 100주년 남북 공동기념행사를 추진했다가 결국 무산된 사실을 지적하며 “진정한 3·1운동 정신의 계승이란 일본 군국주의보다 더 가혹한 북한 공산주의 체제에 있는 2500만 민족이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만드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남정욱 작가는 “사회적 기억은 생물학적 기억과 달리 기억의 방식이 자연 발생적이 아니라 인위적이고 집단적”이라며 “친일 문제는 누군가 계속 군불을 때면서 사회적 기억을 연장하려고 노력하는 중”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개봉한 일부 영화에 대해서도 “반일이 일종의 흥행코드로 자리 잡고 있다”며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과거를 ‘분노’라는 형식으로 체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잠시의 반일은 정서적으로 통쾌하지만 남는 것은 자멸감”이라며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재연 기자 jaeyeon@munhwa.com

[문화닷컴 바로가기|문화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모바일 웹]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