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스텔라 가능?.."블랙홀 주변 10억도, 우주선 산산조각"

최준호 입력 2019. 4. 11. 17:18 수정 2019. 4. 12. 11: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네기과학재단이 2017년 12월 공개한 지구에서 6억9000만 광년 떨어진 거대질량 블랙홀의 모습. 블랙홀 이론과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상상력을 동원해 그린 것이다. [연합뉴스]


사상 최초 모습 드러내 블랙홀, 그래도 남는 의문 Q&A

상상 속에서만 볼 수 있었던 블랙홀이 10일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잡지나 다큐멘터리 속의 매끈하고 화려한 컴퓨터 그래픽 블랙홀의 모습을 기대했다면, 다소 실망스러웠을 수 있다. 밤 10시가 넘은 시각,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동영상 중계로 드러난 사상 최초의 블랙홀 모습은 검은 우주 속에 초점을 잃은 듯 흐리멍덩한 붉은 색‘불의 고리’ 모양이었다. 천문학자들의 설명이 이어졌지만,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의문이 남는다.

이벤트호라이즌망원경(EHTㆍ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에 참여한 한국 연구진이 11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EHT 언론 설명회’를 열었다. 블랙홀의 남은 궁금증을 풀어본다.

EHT 프로젝트에 참여한 일본 국립천문대 소속 혼마 마레키 박사가 1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블랙홀의 이미지를 공개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Q : -과학잡지 속 블랙홀은 가운데 분수처럼 수직으로 솟아오르는 제트 스트림이 있던데, 이번에 공개된 M87 은하 블랙홀 사진에는 없다.=
A : =“제트 스트림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EHT가 아직 제트 스트림이 보일 정도의 해상도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블랙홀에는 이번에 발견된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분이 있지만, 아직 그것들을 관측하지 못한 것이다. 2020년까지는 적어도 3개의 망원경이 추가될 것이기 때문에, 그때는 제트 스트림뿐 아니라 블랙홀 주변 가스 덩어리가 회전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도 보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Q : 이벤트호라이즌망원경(EHT)의 원리가 궁금하다.
A : “세계 곳곳에 있는 8개의 전파망원경이 ‘망’을 이뤄 마치 하나의 커다란 망원경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한 ‘가상의 망원경’이다. 서울과 제주에 각각 한 대의 전파망원경이 있다고 하면, 서울~제주 간 거리가 망원경의 구경과 같은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번 EHT는 지구의 크기와 구경이 비슷하다. 각 전파망원경이 받은 신호들을 모아 자기디스크에 기록한 뒤 이를 동기화시키면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여전히 장비의 감도와 분해능에 한계가 있어 영화 인터스텔라와 같은 블랙홀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는 없다.”
12일 칠레 알마 전파망원경의 모습. 이번 EHT프로젝트에서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화]

Q : 전파 망원경으로 찍었는데, 어떻게 붉은색의 블랙홀 모습이 나오나. 전파 신호는 가시광선과 달리 색이 없는 것 아닌가.

A : “그렇다. 전파 신호는 색이 있을 수 없다. 일반인들을 위해 붉은색을 입힌 것이다. 여러 색깔 중에 굳이 붉은색인 이유는, 색약인 사람도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민하다 선택한 것이다. 블랙홀을 푸른색으로도 그리기도 한다. 현재론 불가능하지만, 블랙홀에 근접해 광학망원경으로 촬영한다면, 블랙홀 주변의 푸른색과 보라색의 가스ㆍ먼지 모습을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번처럼 둥근 고리 모양의 블랙홀 모습은 가시광선의 영역만을 인식할 수 있는 사람의 눈으로는 볼 수 없다.”

Q : 이번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의 65억 배라고 했는데, 그걸 어떻게 알 수 있나.

A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블랙홀 주변의 빛 고리의 크기는 질량에 비례한다. 그리고 그 겉보기 크기는 지구와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지구와 블랙홀이 속한 은하까지의 거리는 변광성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이외에도 블랙홀 주변 가스의 회전 속도를 관측을 통해 구하면 블랙홀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Q : 인터스텔라를 보면 우주선이 블랙홀에 가까이 접근한 뒤 빠져나가던데 이론적으로 가능한 얘긴가.
A : “블랙홀 주변의 가스 온도는 섭씨 10억 도가 넘는다. 회전하는 속도도 광속에 가깝다. 중력 또한 블랙홀에 가깝게 다가갈수록 어마어마하게 높아진다. 우주선은 그 속에서 버텨낼 수 없다. 산산조각으로 분해될 것이다.”


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