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에너지 발전 비상 날개 펴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7%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전력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에너지원별 발전 비중은 석탄 38.5%, 액화천연가스(LNG) 26.4%, 원전 25.8%, 신재생에너지 7.5%였다.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은 2017년 1분기 5.0%에서 2018년 1분기 5.5%로 확대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는 7.5%로 사상 처음 7%대에 진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일 한국전력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에너지원별 발전 비중은 석탄 38.5%, 액화천연가스(LNG) 26.4%, 원전 25.8%, 신재생에너지 7.5%였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석탄과 LNG는 각각 5.2%포인트와 3.0%포인트 하락한 반면 원전과 신재생에너지는 각각 6.9%포인트와 2.0%포인트 상승했다.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은 2017년 1분기 5.0%에서 2018년 1분기 5.5%로 확대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는 7.5%로 사상 처음 7%대에 진입했다. 이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관련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 때문으로 분석된다.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도 10.9TWh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올해 1분기 원전의 발전 비중은 오히려 커졌다. 설비 문제로 가동을 멈췄던 일부 원전의 정비가 끝나면서 가동대수가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1분기 원전 가동대수는 평균 13기였으나 지난 1∼2월 17기, 3월 20기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원전 이용률은 지난해 1분기 54.9%에서 올해 1분기 75.8%로 상승했고, 원전 발전량도 같은 기간 27.9TWh에서 37.3TWh로 증가했다.
석탄발전 비중은 줄어들었다. 올해 1분기 석탄발전 이용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2%포인트 하락한 72.5%에 그쳤다. 정부는 1분기 중 최악의 미세먼지 사태에 대응해 미세먼지가 많은 날 석탄발전 출력을 제한하는 상한제약을 14일간 발령해 총 240기가 적용받았다.
LNG 이용률은 지난해 1분기 53.5%에서 올해 1분기 46.7%로, 발전량은 같은 기간 43.2TWh에서 38.2TWh로 줄었다.
우상규 기자 skwo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통한 소식통에 들었다”던 박지원…이재명 파기환송에 “예상외 판결”
- "(뉴진스)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 레전드 프로듀서의 일침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이것들 봐라? 한 달만 기다려라” 민주당 ‘보복’ 예고?…하루도 안 넘기고 심우정 총장 탄핵
- '도난 피해' 박나래, 결국 눈물 쏟았다…김지연 "한결같이 잘해준 유일한 분"
- 백종원 “이제 다 바꾸겠습니다”…50억 쏟아부은 이유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