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실업자 2년만에 또 사상최고..청년고용 개선 맞나

장서우 입력 2019. 5. 19.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월 대졸실업자 60만3000명..2년만에 60만명대 들어서
일할 의사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도 4개월째 380만명대
"청년정책 실질 진전없어..에코세대 위한 추가 고민해야"
【서울=뉴시스】홍효식 기자 =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9 중견기업 일자리드림 페스티벌'을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공공 게시판을 바라보고 있다. 2019.05.13. yes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장서우 기자 = 지난달 대졸 이상 실업자 수가 2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다시 기록했다.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 역시 올해 들어 4개월 내내 380만명을 넘어서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청년 고용률이 상승하고 있는 점을 들어 고용의 질이 나아지고 있다고 평가했지만 '일자리 정부'를 표방한 문재인 정부가 청년 고용 개선을 위해 획기적으로 내놓은 정책은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9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문대학교를 포함한 대졸 이상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만9000명(5.0%) 증가한 60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딱 2년 전인 2017년 4월에도 이와 같은 수준이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기 직전 가장 높았다가 등락을 거듭한 뒤 올해 들어 또 최고치를 찍은 것이다.

대졸 이상 실업자 중에선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 올해 1분기 기준 전체 대졸 이상 실업자 수 51만1000명 중 15~29세 청년층이 22만4000명으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범위를 30대까지 넓혀 보면 총 35만5000명으로 비중이 더욱 커진다.

통계 당국은 공무원 시험 접수가 있었던 지난달 실업자로 잡힌 '공시족' 청년층이 유독 많았던 영향이 작용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와 달리 올해에는 서울, 광주, 세종 등을 제외한 9개 시·도에서 지방직 시험 접수가 4월 중에 이뤄졌다. 공시 준비생들은 시험을 준비하는 기간에는 취업도, 실업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묶이다 시험 접수 원서를 제출하면서 실업자로 분류된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전체 실업자 수 증가 폭 8만4000명 중 5만명 가까이가 청년층이었다"며 "올해 공시 접수 인원은 37~38만명으로 작년보다 17만8000명이 많았기에 청년층이 실업자 수와 실업률을 모두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고 했다. 올해 1~2월 10만명 넘게 늘어나던 취업준비자가 지난달 4만9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던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는 설명이다.

같은 기간 고졸 실업자는 50만2000명이었다. 2000년대에는 고졸 실업자 수가 대졸 이상 실업자보다 매번 많았지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선에서 엎치락뒤치락해왔다. 중졸 이하 실업자는 14만1000명이었는데, 1년 전 대비 증가율이 21.6%로 비교적 높았다.

한편 지난달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는 380만4000명에 달했다. 일할 능력은 있으나 일할 의사가 없는 주부, 학생, 심신장애자, 구직 단념자 등이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된다. 이 인구는 1999년부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오다 올해 들어 1월 처음으로 380만명을 넘어선 후 4개월째 이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고학력 인구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상황인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20대 후반 취업자가 8개월 연속 증가했던 데다 고용률도 전년 대비 1%p 가까이 상승했던 점을 들어 청년 고용이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청년 고용 개선은 상용직 취업자 증가와 함께 고용의 질이 개선됐다는 정부 주장에 대한 근거로 제시되는 대표적인 지표다.

김성희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최저임금 문제를 떠나 경기가 구조적인 침체 국면에 있어 전반적으로 고용이 취약한 건 사실"이라며 "'베이비붐 세대(1946~1965년 사이 출생한 세대)'의 자녀 세대인 '에코 세대(1979~1992년 사이 출생)', 그 안에서도 특히 인구 규모가 비교적 많은 1990년대생에 대한 추가적인 고민을 하지 않으면 잃어버린 세대가 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이명박 정부 때부터 청년 정책은 실질적으로 진전이 전혀 없었다. 소득 지원 등 정책은 그나마 새로웠지만, 전체적인 상황을 변화시킬 만한 획기적인 조치는 아니었다"며 "문재인 정부는 일자리 정부를 표방했던 만큼 새로운 진전을 일으켰어야 했는데, 큰 틀에선 해 오던 것을 지속하는 양상"이라고 비판했다.

지난달 취업자 수가 10만명대 증가세를 지속하긴 했지만, 실업 상황은 역대 최악의 수준이었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124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4000명(7.2%) 증가했다. 4월 기준 통계가 존재하는 2000년 이후부터 따져보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실업률 역시 4.4%로 2000년 4월(4.5%) 이후 가장 높았다. '투잡(two job)' 희망자와 잠재구직자 등을 합한 청년층 체감 실업률은 25.2%도 역대 최고치였다.

suwu@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