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봐도 '화웨이 제재' 나서는 배경은.."반칙 더 이상 못참아"

명진규 2019. 5. 31. 11: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퀄컴에 이어 영국 암(ARM)과 일본 소프트뱅크 등 화웨이 제재에 동참하는 글로벌 ICT 업체가 확대되고 있다. 이들이 화웨이라는 대형 매출처를 포기하고 나선 표면적인 이유는 '5G 보안' 문제지만 속내는 다르다. 화웨이로 대표되는 중국 ICT 업계의 '반칙'과 이로 인해 파괴된 생태계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절박함이 화웨이 제재에 동참하게 만든 것이다.


"반칙 일삼는 화웨이, 이번에는 바로 잡아야"

31일 미국계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화웨이 제재의 시작은 5G 보안 문제였지만 지금은 양상이 달라졌다"면서 "거의 모든 미국 ICT 업체들이 제재에 동참하는 배경에는 화웨이 등 중국 ICT 업계의 반칙을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는 기류가 형성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10여년간 중국 ICT 업계가 급격하게 성장한 배경에는 중국 정부 차원의 지원과 기술 훔치기, 베끼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대표적인 사례가 시스코다. 화웨이는 2003년 미국 시장 진출 이후 시스코 제품을 그대로 베껴 제품을 판매했다. 이후 시스코측에서 "메뉴얼까지 그대로 복사해 판매하고 있다"며 소송을 제기하자 화웨이측은 "우연의 일치"라고 주장했다가 이후 "개발자의 실수"라며 기술 탈취 사실을 인정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계 네트워크 업체 관계자는 "ZTE를 비롯한 중국계 네트워크 장비 업체들은 잘 팔리는 제품을 그대로 복제해서 절반 이하 가격에 팔았다"면서 "막대한 연구개발(R&D) 비용과 기간을 들여 만든 제품을 단 몇개월만에 복제하고 이를 값싸게 팔아 생태계 자체가 파괴해왔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한때 직원 수만 10만명, 시가 총액이 2830억 달러에 달했던 세계 최대 네트워크 업체 노텔의 파산 배경에는 중국 해커들의 조직적인 해킹이 있었다. 당시 노텔의 보안담당 임원이었던 브라이언 실즈는 "2004년부터 2009년 파산할때까지 노텔 내부의 모든 기술이 중국 해커에 의해 빼돌려졌고 같은 기간 화웨이는 우리 제품을 똑같이 복제해 원가 이하의 가격으로 판매했다"고 밝힌 바 있다.


세계 최대 전기통신 분야 학회인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가 간행물 편집과 논문 등 원고 심사에서 화웨이를 배제하기로 결정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도체 기술 표준을 정하는 JEDEC, 와이파이 기술 표준을 정하는 와이파이연맹, SD메모리 카드 표준을 제정하는 SD협회 역시 회원사 리스트에서 화웨이를 삭제하고 있다.


미국은 화웨이 하나, 중국은 구글 등 100여곳 제재

중국 업체들의 가격 경쟁력이 중국 정부의 지원에서 비롯됐다는 의혹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화웨이, 샤오미는 올해 60만~70만원대 5G폰을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국내 스마트폰 업계 관계자는 "5G폰의 경우 시장 초기인 만큼 칩셋 등 가격이 아직은 많이 비싸 단말기 역시 고가일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중국 정부 차원의 보조금 지원과 각종 기술을 무단으로 도용하지 않을 경우 60만원대라는 가격을 실현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반칙을 밥먹듯이 하는 중국 업체들은 기존 ICT 업계가 폭리를 취해왔던 것처럼 묘사하고 있다"면서 "반칙을 한 선수가 제대로 뛰고 있는 선수에게 나무라는 격"이라고 꼬집었다.


미국계 인터넷 업체 관계자는 "미국은 현재 화웨이 1개 업체를 제재하고 있지만 중국은 100여개가 넘는 미국계 기업의 시장진입을 막고 있다"면서 "검열을 무기로 중국은 자국 업체는 보호하고 글로벌 업체들의 시장진입은 가로 막는 상황에서 화웨이를 제재하는 것이 공정하지 않다는 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구글, 페이스북 등을 비롯해 서비스들을 모두 차단하고 있다. 반면 바이두, 틱톡 등 중국 주요 인터넷 서비스는 세계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중 무역협상 결과에 따라 화웨이 제재가 풀릴 것으로 보는 이들이 많은데 미국 ICT 업계 분위기는 전혀 다르다"면서 "이번 기회에 무너져 가고 있는 ICT 생태계를 바로 잡자는 목소리가 높아 화웨이 제재에 동참하는 기업과 단체들이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