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선진조국 선봉' 전두환 기념석 바닥에 묻힌다
호남취재본부 윤자민 입력 2019. 06. 01. 23:04 수정 2019. 06. 01. 23:21기사 도구 모음
담양 11공수여단에서 최근 5·18자유공원 화장실 인근으로 옮겨졌던 '전두환 기념석'을 시민들이 밟고 지나갈 수 있게 됐다.
당초 이 기념석은 5·18의 아픈 역사를 감추고 왜곡시키려 한 전두환의 만행을 보여주고 이를 기억할 수 있는 역사 교육자료로 활용하자는 취지에서 11공수여단에서 상무대 영창체험장 안으로 이전이 추진됐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윤자민 기자] 담양 11공수여단에서 최근 5·18자유공원 화장실 인근으로 옮겨졌던 ‘전두환 기념석’을 시민들이 밟고 지나갈 수 있게 됐다.
1일 5·18단체 등에 따르면 ‘선진조국의 선봉 대통령 전두환’이 새겨진 기념석이 오는 3일 오전 ‘상무대 영창체험장’ 입구에 묻힐 예정이다.
약 2m, 세로 약 1.5m 크기의 이 기념석은 1980년 5월 광주 금남로에 투입돼 집단 발포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던 부대인 11공수여단이 1982년 강원도 화천에서 담양으로 부대를 옮기면서 세운 부대 준공 기념석이다.
당초 이 기념석은 5·18의 아픈 역사를 감추고 왜곡시키려 한 전두환의 만행을 보여주고 이를 기억할 수 있는 역사 교육자료로 활용하자는 취지에서 11공수여단에서 상무대 영창체험장 안으로 이전이 추진됐다.
하지만 5·18 당시 광주 시민들이 고문을 받고 군사재판을 받아 아픔이 서려 있는 곳에 전두환 이름이 새긴 비석이 들어오는 것을 반대한 5·18단체들로 인해 지난 16일 영창체험장 인근 화장실 옆에 거꾸로 놓였다.
그러다가 5·18단체들은 최근 이 기념석을 망월동 구묘역에 묻힌 전두환 민박기념비처럼 시민들이 밟고 지나갈 수 있도록 바닥에 묻기로 했다.
전두환 이름이 새겨진 기념석을 시민들이 밟으며 전두환 신군부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자는 의미를 담았다.
5·18단체는 2일까지 비석을 평평하게 만드는 작업을 진행한 후 오는 3일 오전 바닥에 묻을 예정이다.
호남취재본부 윤자민 기자 yjm3070@gmail.co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이재명, '노룩악수' 논란에 "오늘은 화장실서 손 씻기도 전에 주먹악수…그때는 미안"
- "흠뻑쇼에 늘씬한 아가씨들 전부 집결"…버스 업체 단체문자 논란
- 그린란드 빙하 녹자 '보물찾기' 나선 억만장자들…"수억대 자원 묻혀있다"
- "반성하고 있다" 손정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 초상화 내건 이유
- '푸틴의 자존심' 47억짜리 탱크…우크라 미사일 공격에 '박살' [영상]
- "일본서 영업할 필요 없네"…韓소주, 'K드라마 파워' 판매량 급증
- 러, 대러제재로 항공기 부품 부족…멀쩡한 새 비행기까지 해체
- "빠져나갈 수 있게 해주세요"…국방부 장관에게 구조 요청한 러軍
- 연세대, 한동훈 처조카 논문 ‘부정행위’ 의혹 본조사 착수
- "주말엔 부업으로 밥값 벌어요"…물가 폭등에 '투잡' 택하는 직장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