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미 판문점 회동] 김정은, 최정예 멤버 수행..미국통 리용호·최선희 참여

2019. 6. 30. 17: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판문점 회동에 정예 측근들을 대동해 눈길을 끌었다.

북미 정상의 만남 영상에 포착된 인물 중 주목되는 수행원은 북한의 대미외교를 이끄는 리용호 외무상과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다.

그 중에서도 리 외무상과 최 제1부상은 하노이 회담 실패 이후 대미 외교 전반을 외무성이 관장하는 등의 조직 재편 과정에서 주목을 받은 인물이다.

최 제1부상은 이번 북미 정상의 역사적인 판문점 회동의 시작을 알린 인물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하노이 정상회담 수행 김여정·조용원·현송월도 모습

(서울=연합뉴스) 최선영 김효정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판문점 회동에 정예 측근들을 대동해 눈길을 끌었다.

북미 정상의 만남 영상에 포착된 인물 중 주목되는 수행원은 북한의 대미외교를 이끄는 리용호 외무상과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다.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제1부부장, 김 위원장의 의전을 전담한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 김 위원장의 최측근들인 조용원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과 현송월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도 수행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판문점 행보가 단순히 이벤트 성격의 짧은 만남이 아니라 정체된 북미 대화와 북미관계 개선의 돌파구로 삼으려는 의도가 읽힌다.

나란히 걷는 남북미 정상 (판문점=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오후 판문점 남측 자유의 집에서 회동을 마친 뒤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군사분계선으로 이동하고 있다. scoop@yna.co.kr

그 중에서도 리 외무상과 최 제1부상은 하노이 회담 실패 이후 대미 외교 전반을 외무성이 관장하는 등의 조직 재편 과정에서 주목을 받은 인물이다.

최 제1부상은 이번 북미 정상의 역사적인 판문점 회동의 시작을 알린 인물이다.

그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비무장지대(DMZ) 만남 의사를 트윗을 통해 밝히자 5시간 15분 만에 '담화'를 발표, "공식 제기를 받지 못했다"면서도 만남이 성사된다면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긍정적 호응을 보냈다.

특히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직후부터 김정은 위원장의 '입' 역할을 하며 최측근으로 부상한 인물로, 그의 이날 담화는 김 위원장의 의사를 대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지난 4월 김정은 2기 권력 재편 때 외무성 제1부상으로는 이례적으로 국무위원에도 올랐다.

리 외무상은 북한 정부를 대표하는 외교 수장이며 자타공인 최고의 '미국통'으로 김정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때 리무진에 동승하며 신임을 과시했다.

외무성에서 핵문제는 물론 군축, 인권, 생화학무기, 미사일 등 대미 외교 전반을 다룬 만큼 누구보다 전략과 협상에 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수행원들 좌측 첫번째 최선희과 김여정 순, 오른쪽 첫번째 현송월, 김정은 오른쪽 옆 두번째 조용원

리 외무상과 최 제1부상은 대미 협상에서 잔뼈가 굵은 양대 베테랑이라는 점에서 미국이 향후 협상에서 만만치 않은 상대를 만나게 됐다고 할 수 있다.

이들과 함께 주목되는 수행 인물은 장금철 신임 당 통일전선부장의 포함 여부다.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북미 정상회동에 장 부장과 비슷해 보이는 인물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확정할 수는 없지만, 외모상으로 (정부가 보관 중인 예전 사진과) 비슷하다"며 "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하노이 회담 이후 김영철 당 부위원장이 겸임했던 직책에 오른 장 부장은 오랫동안 대남 분야에 종사한 인물로 "숨겨진 실세"라거나 "최근 실세로 올라갔다"는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하노이 회담의 실패로 당 통일전선부의 입지가 급격히 줄어들었다는 관측이 나옴에도, 대남사업을 맡은 만큼 최고지도자의 판문점 남측 지역 방문 수행은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용원 당 제1부부장은 2000년대 조직지도부 말단 직책에 김정은 위원장과 인연을 갖고 보좌해온 인물로, 정치적 인맥이 별로 없었던 김정은 후계시절부터 그림자처럼 따라다닌 최측근이다.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장 겸 당 부부장은 하노이 회담 이후 김여정 제1부부장에게서 바통을 받아 김 위원장의 의전을 담당하며 행사 전반을 관장하고 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하노이 회담 이후 종전 김 위원장의 비서실장 등 일인다역 대신 로열패밀리로, 고위 간부로 높아진 위상이 과시하며 활동 중이다.

chsy@yna.co.kr

☞ 전미선 첫 조문객은 송강호…빈소 출입 철저통제
☞ "美 현직대통령 처음 北으로…역사책에 기록될 것"
☞  文대통령 "원래 오울렛까지만 예정…트럼프 제안"
☞ 김정은 "트럼프 만남 의향 표시에 깜짝 놀랐다"
☞ 트럼프, 예외없는 '자화자찬'…"오바마였다면 전쟁"
☞ 엑소와 만난 이방카 트럼프 인증샷 '찰칵'
☞ 집중호우로 옹벽 무너진 아파트…폭격 맞은 듯 '처참'
☞ 스페인 언론 "이강인 발렌시아 떠난다…임대 이적 결정"
☞ 온몸 떠는 증세 보인 獨메르켈 총리 "괜찮다"
☞ 애플社 사과에 포크 찍은 사과조각 더한 상표…"위법"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