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이 싫은 이들을 위한 '이상한 대학교'

입력 2019. 7. 1. 1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학위·캠퍼스도 없지만 학습자 중심 대안대학 지향
"학생들이 커리큘럼부터 장소·강사진도 구성"

"넌 왜 대학에 다니니?"

이 물음에 "지식을 얻기 위해서"라고 대답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많은 학생들이 대학을 '상아탑'이 아닌 '취업을 위한 발판'으로 여긴다. 실제로 최근 취업포털 인크루트에 따르면 대학 재학·졸업생 응답자 1969명 중 36.0%가 '취업'을 대학 진학 이유로 꼽았다. '꿈을 이루기 위해'(23.6%), '주변인의 시선 때문에'(18.1%)가 그 뒤를 이었다.

학교는 질 높은 강의나 유명한 강사 대신 '취업률 1위' 간판을 걸어 놓고, 학생은 듣고 싶은 수업 대신 학점을 잘 주는 수업을 듣는다. 교육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하는 대학은 잘 보이지 않는다. '청년담론' 김창인 대표는 "대학 재학시절 대학에 대한 회의감을 느꼈다"고 토로했다. 학교가 대기업에 인수되며 대학기업화가 진행되면서 캠퍼스 확장과 함께 학과 통폐합까지 무리하게 진행되면서 학교 안에서 '학생'은 지워졌다는 것. 학생회 시위를 통해 학교 정책에 반대하던 김 대표는 무기정학을 받기도 했다. 그는 결국 자퇴서를 내고, '대학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학교를 나온 김 대표는 대학연구네트워크와 함께 대학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그러던 중 그들과 뜻이 맞아 함께 의기투합해 '대안대학'이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고안했다. 기존의 대안중·고교처럼 학생 중심의 자율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한 것. 기존 대학에 회의를 느끼는 학생을 위한 '이상한 대학교' 프로젝트는 그렇게 탄생했다.

◆ '학교' 아닌 '학생'이 주인공

'이상한 대학교' 수강생 모집 포스터. [사진 출처 = 청년담론 제공]
'이상한 대학교'는 지난달 말 첫 학기를 열었다. 학교 건물도, 학위도 없다. 정식 대학은 아니지만, 기존 대안학교처럼 제도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진행하는 프로젝트라는 의미에서 '대안대학'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입학 대상은 교수를 꿈꾸는 젊은 연구자부터 대학생, 청소년까지 대학에 회의를 느끼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환영이다. 한 학기 등록금은 강사 수강료인 10만원. 정식 학기는 기존 대학의 방학 기간(6~8월, 12~2월)마다 운영해 대학생도 함께할 수 있는 대학을 만들었다.

'이상한 대학교'의 주체는 학교나 교수가 아닌 '학생'이다. 매 학기 개강 이전 학생들이 기획단을 구성해 커리큘럼과 강의 장소를 선정한다. 배우고 싶은 주제를 논의해 정하고, 자신들을 가르칠 강사 또한 직접 섭외한다. 첫 학기 주제는 '도시'. 난민, 공동체, 역사 등 우리가 살아 숨 쉬는 현장 속에서 발견되는 것들을 고찰할 수 있는 포괄적인 주제를 선정했다. '깨끗한 보도는 노점상을 싹 철거해버린 후에 만들어진 것 아닐까?', '높은 마천루가 있던 곳에는 누가 살고 있었을까?'와 같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도시 속 숨겨진 의미들을 배우고, 토론할 예정이다. 강의 장소 또한 커리큘럼 주제에 어울리는 공덕역 경의선 공유지로 선택했다.

◆ "대학 문화 고민해보는 '이상한 실험실' 운영

'이상한 대학교'는 대학문화를 고민하는 프로젝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 1월 OT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 출처 = 청년담론 제공]
김 대표는 학기와 학기 사이에는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학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논의하는 시간을 가지기 위해서다. 술을 강요하는 대학문화를 대체하는 '새로운 대학 놀이문화 만들기', 기성 대학 수업 커리큘럼의 문제를 지적하는 '대항대학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

학생들을 위한 '이상한 실험실'도 운영된다. 학기 중에 수강생들의 자치 운영회의와 대학 관련 프로젝트 기획 논의를 진행해 교내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상한 대학교의 주인은 학생들"이라며 "대학 밖에 대학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모여 지적 담론을 생산하고,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각자의 대학에 돌아갔을 때 자신의 대학을 변화시키게끔 돕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상한 대학교'는 텀블벅 펀딩 프로젝트 또한 진행하고 있다. 한 학기 등록금으로 1인당 10만원씩을 받고 있지만, 강사료를 감당하기에는 모자라기 때문. 청년담론은 모자라는 강사료 액수인 150만원을 목표 금액으로 설정해 마감일인 7월 14일까지 후원을 받는다. 목표 금액을 초과 달성하면, 대학교 운영 및 홍보 비용으로 이용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이 프로젝트가 한국의 대학교육 시스템에 잔잔한 파동을 일으키는 계기로 작용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취업이 아닌 지식을 얻으려는 학생들이 존중받고, 대학 또한 대학 본연의 역할과 기능을 진지하게 토론하게 되는 사회가 됐으면 한다는 것. 김 대표는 "한국사회의 미래와 직결된 청년 세대의 대다수가 대학, 교육에 대한 진지한 고민 없이 사회에 진출하고 있다"며 "이상한 대학교에서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작은 변화를 만들어낸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최서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