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본 임금 5개월 연속 떨어져..수출도 부진"
심나영 입력 2019. 07. 28. 12:00기사 도구 모음
일본의 고용 여건은 호조세를 보이고 있지만, 올해 들어 임금은 떨어지고 있다.
저임금 근로자들이 노동 시장에 들어오고 있고, 장시간 근로가 제한 된데다 기업들의 수익성도 하락하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수출 및 생산 부진 등으로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기업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기업의 임금인상 여력이 축소됐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고용여건 호조세지만, 임금은 하락
저임금 늘어나고 장시간 근로 제한된 탓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일본의 고용 여건은 호조세를 보이고 있지만, 올해 들어 임금은 떨어지고 있다. 저임금 근로자들이 노동 시장에 들어오고 있고, 장시간 근로가 제한 된데다 기업들의 수익성도 하락하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28일 한국은행의 해외경제포커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고용여건이 호조를 지속하고 있으나 올해 들어 명목임금 및 실질임금 모두 전년동월대비 5개월 연속 하락했다.
5월중 실업률이 2.4%로 완전고용 실업률(OECD, 3.3%)을 크게 하회하고 고용시장의 활력을 나타내는 유효구인배율(유효구인자수/유효구직자수)도 1.62배로 양호한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저출산 때문에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저임금의 여성·고령층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하면서 임금상승이 제약받고 있다. 직업별로는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서비스직, 판매직 등을 중심으로 기업의 노동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장시간 근무환경 시정, 비정규직 중심의 일자리 증가 등으로 인한 전체 근로시간 감소가 임금의 하방요인으로 작용했다. 일본 의회가 지난해 6월 '일하는 방식의 개혁 법안'을 가결한 후 일본 정부는 올해 4월부터 대기업의 시간외 근무 한도를 법으로 규정했다.
법정노동시간(일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외 근무는 월 45시간, 연 360 시간으로 정했다. 중소기업은 내년 4월부터 적용된다. 지난해 저임금의 비정규직 비중이 37.8%로 전년에 비해 상승한 데다 비 정규직의 임금수준 또한 정규직의 64.6%(2018년 기준) 수준으로 하락했다.
제조업체 수익성도 하락했다. 수출 및 생산 부진 등으로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기업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기업의 임금인상 여력이 축소됐다.
일본경제는 수출 부진 탓에 완만한 성장 둔화 추세 곡선을 그리고 있다. 산업생산은 신차 출시, 장기 연휴 이후 증산 등 일시적 요인의 영향으로 5 월중 전월대비 2.0% 증가(전년동월대비 2.1% 감소)했다.
수출은 2분기중 1.9% 감소(전기대비)하였다. 향후 일본 경제는 정부의 재정확대가 예상되나 소비 세율 인상(8% →10%), 미·일 무역협상 관련 불확실성 등으로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많은 여성이 성형중독, 노화에 연연 말라"…84세 여배우의 소신
- 김밥 없는 '우영우 김밥'에 줄 서는 이유는…"대박에 음식 중요치 않아"
- "머리 매일 감지 말라" 송수관까지 말랐다…폭염 이어 가뭄 덮친 유럽
- [참트루?] "대구 여교사·학생 부적절 관계, 성범죄 적용 어렵다" 남교사면 달랐다?
- "상사와 1:1 술자리 후 사망…업무상 재해" vs "개인적 회식" [서초동 법썰]
- "몽블랑 오르려면 본인 시신 수습비용까지 2000만원 내라"…보증금 만든 佛 시장
- 무작정 "불법영업 하네" 돈벌이…'자영업자 킬러' 유튜버 잡혔다
- "머리 매일 감지 말라" 송수관까지 말랐다…폭염 이어 가뭄 덮친 유럽
- "크게 베어 먹었으면 큰일 날 뻔"…아이스크림서 나온 쇳덩어리, 식약처 해명은
- SK 최태원 차녀 민정씨, 하이닉스 휴직 후 美스타트업 자문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