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20% 이상, 과잉치료로 저혈당 위험"

2019. 8. 16. 09: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20% 이상이 과잉 치료로 혈당이 너무 떨어져 저혈당으로 병원 응급실에 실려 가거나 입원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 내분비내과 전문의 로잘리나 매코이 교수 연구팀이 장기 혈당이 권장 수치 내에 있는 성인 당뇨병 환자 1천70만명의 전국 건강·영양조사(NHNES) 자료(2011~2014년)와 같은 기간 이들의 저혈당 관련 병원 응급실 방문 및 입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미국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20% 이상이 과잉 치료로 혈당이 너무 떨어져 저혈당으로 병원 응급실에 실려 가거나 입원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 내분비내과 전문의 로잘리나 매코이 교수 연구팀이 장기 혈당이 권장 수치 내에 있는 성인 당뇨병 환자 1천70만명의 전국 건강·영양조사(NHNES) 자료(2011~2014년)와 같은 기간 이들의 저혈당 관련 병원 응급실 방문 및 입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이들은 2~3개월간의 장기 혈당을 나타내는 당화혈색소(A1c) 수치가 권장 선인 7% 이하였다.

이 중 22%는 강력한 치료제 투여로 당화혈색소 수치가 5.6% 이하로 떨어지거나 2가지 이상의 약 처방으로 당화혈색소 수치가 5.7~6.4% 범위에 있었다.

이들은 저혈당 발생으로 병원 응급실에 가거나 입원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년여의 조사 기간에 이들 가운데서 저혈당으로 인한 4천804건의 병원 응급실 방문과 4천774건의 입원이 발생했다.

저혈당이 되면 현기증 또는 착란과 함께 시야가 흐려지고 땀이 나며 말이 어눌해질 수 있으며 방치하면 의식을 잃고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저혈당은 이밖에 장기적으로 심혈관질환, 인지기능 손상, 낙상, 골절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당뇨병 환자 중에서도 치료제로 인슐린이나 설포닐우레아를 사용하거나 75세 이상이거나 신장 질환 등 3가지 이상의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저혈당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인슐린 치료 같은 대체 방법이 없는 경우는 저혈당 위험을 피할 수 없겠지만 과잉치료에 의한 저혈당 위험은 피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당화혈색소란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의 혈색소(헤모글로빈) 분자가 혈액 속의 포도당과 결합한 것이다. 적혈구는 일정 기간(약 120일)이 지나면 새로운 적혈구로 대체되기 때문에 당화혈색소는 대체로 2~3개월 동안의 장기적인 혈당치를 나타낸다.

이 연구결과는 '메이요 클리닉 회보'(Mayo Clinic Proceedings) 온라인판(8월 15일 자)에 실렸다.

저혈당 증상들 [출처: 서울아산병원]

skhan@yna.co.kr

☞  北 "아랫사람이 써준것 졸졸 읽는 남조선 당국자 웃겨"
☞ 강릉서 펜션 운영 '모자' 실종…280여명 수색 나서
☞ 文대통령 경축사 박수 논란…"黃 무례" vs "北오버랩"
☞ "집 나간 남편이 안 돌아와" 신고에 출동해보니
☞ 옷처럼 입는 로봇 개발…"걷기·달리기 지원 가능"
☞ 쌍둥이 유도 국가대표가 알려주는 실전 호신술
☞ "당당히 죽으라" 안중근에게 수의 보낸 어머니
☞ 신채호 며느리의 일침…"일본보다 친일파가 문제"
☞ 난폭 운전 항의하자 되레 아이들 앞에서 보복폭행 논란
☞ 새 일왕은 "깊은 반성"…아베는 7년째 '반성·책임' 외면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